원문정보
Suggestion on the Cost-related Data Collection and Practical Use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초록
영어
Due to amount of investment and economic impact, cost management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government. However, cost data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have not been properly collected and analyzed due to improper data collection system. This paper introduced relatively new approach in collecting cost related data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Different to existing cost collection system, the proposed approach in this paper starts with figuring out what kinds of analysis need to be done to improve cost performance of public project of data, then determine the formula and data those should be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is paper also suggested how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result from various analyses.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ble to analyze cost performance in various aspect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terms of cost. In addition, newly introduced project delivery method or contract method will be able to be examined through the result of various analyses which can be derived from proposed cost data collection system.
한국어
국가 재정이 투입되는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리는 국가경제의 중요한 관리 사항 중의 하나이나,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증감형태의 다양한 분석을 위한 사업비 관련 정보의 수집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관련법을 통해 수집되고 있는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는 현행 방법을 탈피하여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련 성과 분석과 관련하여 무엇을 어떻게 분석할 지를 먼저 설정한 후 이러한 분석을 위한 필요 사업비관련정보 도출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 관련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을 통해 사업비 투입 실태, 사업비 변동 및 주요 현안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사업성격에 따른 사업비 성과 분석을 통해 관련 정책 및 제도개선의 효용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매년 동일한 항목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공공건설사업의 사업비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적인 사업비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공건설사업 사업비 관리 관련 제도 및 관리 실태
2.1 총사업비관리제도
2.2 현행 사업비 관련 정보 실태 및 문제점
3. 공공건설 사업비 관련 정보 수집 방안
3.1 분석 필요 항목 도출
3.2 분석항목의 형태, 산식, 필요 변수 파악
3.3 필요변수 정의 및 자료 취득가능성 검토
4. 공공건설 사업비 관련 정보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4.1 해당 사업의 사업비 변동률의 다각적 분석
4.2 사업간 비교 분석
4.3 산업성과수준 측정 및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