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문묘(文廟) 건축과 무묘(武廟) 건축의 지붕형식에 관한 비교 연구 - 대성전(大成殿)과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Roof Design between Confucius Temple and GuanDi Temple in China - Focusing on the Dacheng Palace and Main Hall -

곽항걸, 이건하, 김영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China, Kongzi is called God of Wen, and Guanyu is called God of Wu. Therefore, the results of comparative study between Confucius Temple and GuanDi Temple are as follows: 1. Main Hall and Pray Hall are connected in the GuanDi Temple. However, there is no such a form used in the Confucius Temple. 2. Both of Kuiwen Pavilion in Qufu Confucius Temple and Yushu Tower in Haizhou GuanDi Temple are the places of keeping emperor's books, so that, they are in the highest grade. 3. The roof tiles of Main Hall in Confucius Temple are mostly designed by no pattern, and the quantity of animal carving on descending ridge is 9 for the maximum. The roof tiles of Main Hall in GuanDi Temple use the decorations that pray of auspicious, and the quantity of animal carving on descending ridge is 7 for the maximum. 4. The roof tile of Confucius Temple Dacheng Palace architecture use yellow chiefly, and it is designed only by dragon pattern. However, the roof tile of GuanDi Temple Main Hall architecture use green chiefly, and it is designed by dragon pattern and animal face pattern. 5. There is no decoration on the surface of roof tile of Dacheng Palace with the yellow roof tile in Confucius Temple. And the green roof tile is designed by dragon pattern and flowering plant pattern. However, GuanDi Temple is opposite with Confucius Temple.

한국어

공자는 중국에서 문성인(文圣人)이라고 불리우고 관우(关羽)는 무성인(武圣人)이라고 불리워 같이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문묘(文廟) 건축과 무묘(武廟) 건축의 지붕형식을 비교연구한 결과 아래와 같다. 1. 무묘(武廟) 건축에서 정전이 배전과 대포하식구련탑(带抱厦式勾连搭) 형식으로 디자인한 경우가 나타났다. 그러나 문묘(文廟) 건축에서는 이러한 형식이 나타나지 않았다. 2.취부 공묘(曲阜孔庙) 규문각(奎文閣) 건물과 하이저우 관제묘(解州關帝庙) 어서루(御書樓)는 모두 황제 어서(御書)를 보관하는 건물이고 등급이 가장 높다. 3. 문묘(文廟) 정전 건물 지붕마루에서는 대부분 무늬가 없는 것으로 디자인 되었고 추녀마루 위의 동물상 수량은 가장 많아서 9개까지 달하였다. 무묘(武廟) 정전 건물의 지붕마루에서는 길상을 기원하는 장식을 한다. 추녀마루 위의 동물상 수량은 가장 많아서 7개이다. 4. 문묘(文廟) 대성전(大成殿) 건축의 와당은 황색을 주로 사용하고 용무늬만으로 디자인 되었다. 무묘(武廟) 정전(正殿) 건축의 와당은 녹색을 주로 사용하고 용무늬와 짐승얼굴무늬로 디자인되었다. 5. 문묘(文廟) 건축에서 황색 와당으로 된 대성전(大成殿)의 지붕마루 표면은 모두 장식이 없다. 녹색와당으로 된 지붕마루 표면은 용, 화초문양으로 디자인 되었다. 무묘(武廟)는 이와 반대로 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중국 문묘(文廟)와 무묘(武廟) 발전 과정 비교
 3. 문묘(文廟)와 무묘(武廟)의 지붕구성 요소
  3.1 문묘(文廟)의 지붕구성 요소
  3.2 무묘(武廟)의 지붕구성 요소
 4. 문묘(文廟)와 무묘(武廟) 지붕형식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곽항걸 Guo Heng Jie. 한서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과정
  • 이건하 Lee Keon ha. 한서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 김영은 Kim young eun. 부천대학교 건축과 강의전담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