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수도 시설물의 지진 취약도

원문정보

Study on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Water Supply Facilities

Changsoo Lee, Deasub Shin, Hodam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failure of water supply facilities is categorized into two phases: functional failure and complete collapse. The fragility curve of water supply facilities under PGA has been developed for two loading cases: actual overseas earthquake and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The seismic fragility of water supply facilities has been analyzed and compared about failure phases and PGA.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wrapped steel pipe and ductile case iron pipe under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has been shown as lower than that under actual overseas earthquake in the range from 0.1 to 0.4. The suggested seismic fragility curve by using Korean artificial earthquake can be exploited in a reasonable seismic design reflecting Korean local ground condi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시설물에 대해 손상단계를 기능수행과 붕괴방지로 나누고, 해외실측지진과 한반도형 인공지진에 대해 각각의 최대지반가속도에 따른 취약도 함수를 도출하였다. 손상단계 및 지반가속도를 이용하여 상수도시설물의 지진파에 따른 취약도 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도복장강관과 덕타일 주철관에 한반도형인공지진을 재하하는 경우, 해외실측지진을 재하하는 경우에 비하여 중앙값이 최소 0.1에서 최대 0.4까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반도형 인공지진을 이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은 국내실정에 맞는 합리적인 내진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2. 지진취약도 해석
 3. 수치해석 모델
  3.1 Winkler Foundation 모델
  3.2 상수도관 모델링
  3.3 지반 모델링
 4. 입력지반운동
 5. 손상단계 정의
 6. 지진취약도 곡선
 7.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정보

  • Changsoo Le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90 Dongdaemun-gu, Seoul 130-743, Republic of Korea
  • Deasub Shi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90 Dongdaemun-gu, Seoul 130-743, Republic of Korea
  • Hodam Le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90 Dongdaemun-gu, Seoul 130-743,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