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의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소진, 조직사회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ollege Graduated-Early Career Female Employees’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ng by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 Socialization

김양신, 이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job stresses perceived by early career female employe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media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 so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utcome of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of a early career female employee and her emotional exhaustion, turnover intention shows that higher the level of the job stresses,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higher the emotional exhaustion,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However,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turned out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es of a early career female employee and organization socialization, the turnover intention shows as follows: increasing job stresses lead to lower level of organization socialization, better organization socialization leads to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Also,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 socialization in the effectual relationship of job stresses and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that successful organization socialization played a role to diminishing the effects of job stresses on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examination of direct effects of job stresses on the turnover intention pro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higher job stresses leads to greater turnover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이 영향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 조직사회화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입사 2년 이하의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유효 설문지 198부를 분석하였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조직사회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직사회화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과 정서적 소진, 조직사회화 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직무자율성과 직무불만족이 정서적 소진, 조직사회화와 함께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의 조기 이직을 낮추기 위하여, 기업은 이들의 조직사회화를 높여야하고, 신입 단계부터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대졸 여성 초기경력자의 조기 조직 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개인과 기업 모두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분석
  2.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징
  2.2. 정서적 소진의 개념과 특징
  2.3. 조직사회화의 개념과 특징
  2.4. 이직의도의 개념과 특징
 III. 연구모형과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3.3. 연구도구
 IV. 분석 결과
  4.1. 기술통계 분석결과
  4.2. 연구가설 검증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양신 Kim, Yang-Shin. 숙명여자대학교
  • 이영민 Lee, Young-Min.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