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명희 문학에 나타난 장소성과 장소상실의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Placeness and Placenessless in Jo Myeong­hee’s Literary Works

김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pplying key concepts of human geography,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s and conditions of “placeness” and “placenessless” in Jo Myeong ­ hee’s literary works. Jo had sensitive perceptions of place. Especially, his works show the condition of placeness and placenessless, which colonized subjects experience during the colonial/imperial period in the 1920s and 1930s,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home” and place identity. In Jo’s works, “home” is a space of absence where desire and frustration intersect. In his plays and poems written while he was studying in Tokyo, Jo fails to form a real connection to the actual places of his reality, longing for “home,” “hometown,” or “unknown faraway place.” The placenessless of “here” is manifested as a desire for a utopia “somewhere else.” The absence of “home” remains as the theme of Jo’s literary works even after he came back to Korea. Even though he came back “home,” he could not feel the sense of stability and fellowship of being “inside home.” Therefore, he dreams of moving out of “home,” or more precisely, out of the colonial/imperial system. Once Jo defected out of the colonial/imperial system, to the Soviet, his works express desires for “moving” and “settlement” simultaneously. “Inside” the new system, he still yearns for Chosun as a place “outside.” Chosun, in his works during his exile in the Soviet, appears as a counter­space, which raises objections to the utopian fantasy of the Soviet, or a continuous possibility of “other place.”The “placeness” of Jo Myeong ­ hee’s literary works is related to “mobility.” The mobility of his life of studying abroad, returning home, and exile is manifested in his works as sensitive perceptions of place as well as the difficulty of acquiring plac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less. Jo’s sense of being “outside” without being able to take root “inside” a place or his attitude of perpetual desire for “outside” from “inside” manifests the position and perspective of a moving subject/migrant. His desire as a colonized subject to overcome colonialism resulted in constant moving and migration both in his real life and literary works. Such moving subject’s perspective as outsider objectively exposed the reality in Jo’s literary works.

한국어

이 글은 인문지리학의 핵심 개념을 적용하여, 조명희 문학에 나타나는 ‘장소성’과 ‘장소상실’의 의미와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인문지리학에서 장소는 개인과 공동체 정체성의 중요한 원천이며 인간 실존의 심오한 중심이 된다. 조명 희는 장소에 대해 예민한 지각력을 지녔던 작가로서 특히 그의 작품은 ‘집’에 대한 경험과 장소정체성에 주목하여, 1920~1930년대 식민지/제국 체제 하에서 피식민지 주체가 경험하는 장소성과 장소상실의 상황을 보여준다. 조명희 문학에서 ‘집’은 열망과 좌절이 교차하는 부재의 공간으로 형상화된다. 도쿄 유학 시기의 희곡과 시에서 그는 현실의 구체적 장소와 실제적 관계를 맺지 못하고 ‘집’, ‘고향’, ‘머나먼 미지의 곳’을 동경한다. ‘여기’에서의 장소상실이 ‘다른 곳’을 향한 유토피아 지향성으로 발현된다. 귀국 후에도 ‘집’의 부재는 여전히 조명희 문학의 테마로 구현된다. ‘집’에 돌아왔으나 그는 ‘집’의 내부에 있다는 안정감과 유대감을 느낄 수 없기에, ‘집’의 바깥, 엄밀히 말해 식민지/제국 체제 의 ‘바깥’으로의 월경을 꿈꾼다. 체제 ‘바깥’으로, 소련 망명을 감행한 이후에 창작한 작품에는 이주와 정주의 시선이 동시에 나타난다. 새로운 체제의 ‘내부’에서 그는 여전히 ‘바깥’으로서의 조선을 꿈꾼다. 소련 망명 시기의 조선은 소비 에트라는 유토피아적 환상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반공간(反空間)으로서의 장소, 혹은 ‘다른 공간’의 가능성으로서 지속적으로 상기되는 장소의 의미를 갖는다. 조명희 문학의 ‘장소성’은 ‘이동성’과 연관된다. 유학, 귀향, 망명으로 이어지는 삶의 이동성은 그의 문학에서 장소에 대한 예민한 지각력과 아울러 장소성 획득의 어려움, 장소상실 등의 특징으로 발현된다. 장소의 ‘내부’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외부’에 있다는 느낌, 또는 ‘내부’에서 끊임없이 ‘바깥’을 꿈꾸는 그의 태도는 이동하는 주체, 이주자로서의 위 치와 관점을 보여준다. 피식민지인으로서 식민주의를 극복하려는 태도가 조명희의 삶과 문학에서 끊임없는 이동과 이 주를 낳았고, 이렇게 이동하는 주체로서의 타자적 시선이 그의 문학에서 현실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명희 문학에서 ‘집’의 의미
 Ⅲ. 조명희 문학의 장소성과 장소 상실
  1. 어디에도 없는: 장소 상실과 유토피아
  2. ‘집’의 부재: 장소 상실과 월경(越境)의 꿈
  3. ‘조선’이라는 헤테로토피아: ‘정치적 이동’과 이주 공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신정 Kim, Shin Jung. 한국방송통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