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시의 내적 발화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internal utterance in modern poetries

김기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explain the internal utterance of Hwang Ji­Woo’s and Kim Hye­Soon’s poetries. Utterance is the action as wall as the words. In utterance, there are illocutionary acts to perform some actions by saying something. The concept of internal utterance by Mikhail M. Bakhtin is to utter in the process of thinking before saying through the vocal cords. Though the utterance is in thinking, it faces to the listener and is socialistic. Since it is the sign moving in the inside of human, it is in the specific context and affected by the other people and the society. The mind and the consciousness in the internal utterance are not in the mental or soul of the speaker, but in words, motions or actions of him. Since the internal utterance is the words for only oneself, there are so many potential words which are not said through the external utterance. So the meaning of study of poetries by the internal utterance is to study the words uttered in the poetic situations and contexts and to study the poetic speakers words and the overlapped voices. Bakhtin has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utterances, overlapped voices and mixed voices and heterogeneous voices in the words of fictions. He has been eliminated the poetries in his study because they have sole voice and singular meaning. However, the Korean modern poetry has passed the tragic history of abused modernized process by Japanese domination, the terrible social chaos by Korean War and the serious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fter the colonized period in short history. It causes the serious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ies, unlikely the traditional lyric poetries, such as the loss of lyric rhythms like prose, nonidentical character between the ego and the world and the uncertainty of the poetic meaning. So this study reviews, by the theory of internal utterance by Bakhtin, Hwang Ji­Woo’s and Kim Hye­Soon’s poetries which have shown the important changes of poetic stream in 1980’s and raises the question that Korean modern poetries have still been influenced by sole voice and singular meaning. Hwang Ji­Woo’s poetries have tried to communicate to readers with the desire of free expression of poetries through the internal utterance on the basis of inter­subjectivity under the censorship and the watch of 1980’s autocracy. Kim Hye­Soon’s poetries also have tried to show the inherent nature of female with their own words by the rebellion of men’s words in the androcentric society. The phenomenon of aphasia which have been happened in the harsh realities to block the proper communications are appeared in early poetries of both poets. This shows the situation to cope with the sole voices and singular meaning of lyrical ego and shows the superiority of voices of others and society stronger than the one of poetic speaker.

한국어

본 연구는 황지우, 김혜순 시를 통해 현대시의 내적발화에 나타난 의미와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적 발 화는 성대를 통해 발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사고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발화이지만 외적 발화와 같이 청자를 지향하고 있으며 사회적이다. 그것은 내면에서 움직이는 기호로서 발화가 주어진 구체적인 맥락 속에 있으며 타인과 사회의 기 호에 영향을 받는다. 내적 발화에 나타나는 심리나 의식은 화자의 정신이나 영혼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말이나 몸짓 또 는 행동 속에 위치한다. 또한 내적 발화는 자기 자신을 위한 언어이므로 화자의 사고 속에 있으면서도 외적 발화로 드 러나지 않은 말들이 잠재되어 있다. 시를 내적 발화를 통해 연구한다는 것은 시적 상황과 맥락 속에서 발화된 내적 언 어를 연구하는 것이고 타인의 말과 사회의 말이 스며들고 섞여 굴절된 화자의 겹목소리를 연구하는 것이다. 바흐친의 발화 연구는 주로 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시의 언어가 화자에 지배되는 단일한 목소 리, 단일한 의미를 갖고 있는데 반하여 소설 언어는 겹목소리, 혼종성, 이질언어성, 다어성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대시는 왜곡된 근대를 거쳐 정치적 사회적 격동기, 전쟁과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겪으면서 짧은 기간에 서사 지향성과 산문화, 자아와 세계의 비동일성, 의미의 불확정성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본 연구는 정치 적 사회적 격변기인 80년대에 중요한 시적 변화를 보여준 황지우와 김혜순의 시를 바흐친의 내적 발화 개념을 통해 살 펴보면서 시가 여전히 화자의 단일한 목소리에 지배되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황지우의 시는 80년대의 정치권력의 검열과 감시 하에서 표현하고 싶은 욕망을 훼손당하지 않은 채 간주관성의 바탕 위에서 내적 발화를 통해 소통하고자 하였으며, 김혜순의 시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남성의 언어를 배반함으로써 어 떻게 여성 고유의 언어로 드러낼 것인가를 고민해 왔다. 이들의 초기시는 정상적인 발화가 막힌 현실에서 실어증적인 현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서정적 자아의 단일한 목소리가 차단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며, 타인의 목소리, 사회의 목 소리가 화자의 목소리보다 우위에 있는 상황을 드러내는 것이다. 황지우의 시는 서정시의 단일한 목소리에서 벗어나 공통사회성, 공통의 언어감각을 바탕으로 한 간주관성의 배관을 통해 독자와 소통하면서 정치권력의 폭력성을 드러내 고 있다. 김혜순의 시는 주로 남성의 목소리에 지배받는 여성의 고유한 목소리, 남성에 의해 병적인 말로 취급당하지 만 내적 발화가 온전히 살아있는 목소리를 드러낸다. 이들의 시에서 화자의 목소리는 사회적 목소리가 겹쳐지면서 단 일한 목소리를 벗어나 다어성, 혼종성, 이질언어성의 특징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현대시에서 내적 발화의 의미
 Ⅲ. 황지우 시의 내적 발화 간주관성으로소통하는 침묵의 언어
 Ⅳ. 김혜순 시의 내적 발화 남성중심적질서를 위반하는 병적 언어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택 Kim, Ki Taek.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