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근대 탐정소설의 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Korean Modern Detective Novel

차선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eaturing an artist detective, 『Evil Man』 has modern requisites fordetective story in formal aspect. The deduction of Yu Bul Ran seems to agree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deduction in modern detective novel. Thededuction of detective is to implement reflective reason realizing the relativityof selfawarenessin pure logical form by surpassing common opinionrepresented by the police and reader. 『Evil Man』can be a successfuldetective novel as it fully represents intellectual pleasure of realizing therelativity of awareness presented by the deduction of detective. Moreover, theartist detective in 『Evil Man』 can be said to reveal inherent characteristics ofmodern detective novel of Korea which was specifically developed in colonialsocial structure where the bourgeoisie were blocked from social growth.

한국어

이 글은 탐정소설의 본질은 곧 탐정이라는 존재의 본질을 해명함으로써 밝혀진다는 전제에서 탐정소설의 기원을 탐구하기 위해 탐정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탐정소설에서 탐정이 차지하는 위상과 이와 결부된 탐정소설의 서사적 성격을 몇 가지 이론적 논의들을 중심으로전개하였다. 역사적 측면에서 탐정은 근대 이전의 고귀한 악당이 근대 이후 사악한 범죄자로 변모하거나 이성적 영웅(탐정)으로 탈바꿈되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고 파악하고, 이것이 탐정소설에서는 탐정과 범죄자의 대결, 탐정과 경찰의 대결이라는 두 가지 서사와 연관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의 시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근대 탐정소설의 효시로 거론되는 『쌍옥적』과 식민지의 대표적인 탐정소설 작가인 김내성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식민지 탐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쌍옥적』과김내성의 작품들은 이론적 결과물을 적용하는 시론적 사례로 선택되었다. 김내성의 작품에 등장하는 탐정 인물의 유형은 ‘예술가탐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술가탐정’은 비정파 탐정소설에 등장하는 냉소적인 탐정과유사한 측면이 있는데, 특히 팜므파탈의 유혹에 이끌려 범죄사건에 휘말리고 그로 인해 완벽한 추리로 범죄자를 압도하지 못한다는 점이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범죄조직의 거대화에 따른 부르주아 계급의 상대적 열세에서 비롯된 비정파 탐정소설의 역사적 조건과는 다른 조건에서파생된 것이다. 김내성의 ‘예술가탐정’은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이 봉쇄당한 식민지의 사회적 구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계급적 토대가 취약한 불안정성의 한 증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예술가탐정이 등장하는 『마인』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탐정소설로서의 근대적 요건을 갖춘 작품이다. 유불란의 추리는 근대 탐정소설에 나타나는 추리의 본질적 성격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탐정의 추리는 경찰및 독자로 대변되는 상식적인 공통 견해를 뛰어 넘어 자기 인식의 상대성을 깨닫는 반성적 이성을 순수한 논리적 형식으로 구현하는 데 있다. 『마인』은 탐정의 추리가 선사하는 인식의 상대성을 깨닫는 지적 즐거움을 충실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탐정소설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마인』에 등장하는 예술가 탐정은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이 봉쇄된 식민지 사회구조 속에서 특수하게 발전해간 한국 근대 탐정소설의 한 특성을 드러내는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탐정’이라는 존재
 Ⅲ. 『쌍옥적』과 미완의 탐정
 Ⅳ. 『마인』과 예술가 탐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선일 Cha Sun Il.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