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소설사의 역사적 접근 ― 주요 작품 속 인물 형상화의 특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Historical approach of the North Korea novel ―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symbolizing in the major works ―

오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m Jongun'scurrent age in 2014 to gauge the attitude of the literatureis the reality of interKorean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even a singlereading can be a barometer. Through the literary text with narrativeprobabilit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has witnessed the conflict of desireand public ethics. The current literature in North Korea lies still in theshadow of Kim Jongil's'Juche literary theory'. Since 1992 literature toemphasize 'Juche realism' is emphasized through the still 'Leader shapeliterature' and 'Songun revolutionary literature'. 'Footsteps discourse' and'Masikryeong speed' is represented Kim Jongunera literature in North Korea. 'Kim ilsung=Kim jongil=Kim Jongun'ssuccession is threedimensionalinliterary discourse shows that have already been completion. Kim Jong Un era ofthe cult task to continue with the discourse of Kim Jong il era is evident acrossthe board. North Korea of short stories, ‘science fantasy novels’ and ‘socialist realitytheme’ in the novel details the inner conflict of the main character in thecurrent time through the text based on the idea of the ‘Songun revolution'. Cracking the vertical communication may be a glimpse. An ideal(desire) andreality(ought) in the conflict of 'subject(individual)' and stranger want toproceed twowaycommunication to the world. North Korea novels should be rewritten. The important thing is 'newreading'. It reads the convergence of a new discourse that is not traditionalliberal but approaching to structur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evaluation. Reading from the south as part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 novels’ is notthe convergence of the regime in North Korea within the literary discourse. the outside viewpoint of south korea can be written by critical literaryperspective.

한국어

2014년 현재 김정은 시대의 북한문학의 향방을 가늠하는 것은 남북한대치 국면 속에서도 북한의 현실을 간접적으로 독해하는 하나의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현실 영역이 아니라 문학 텍스트가 지닌 서사적 개연성을통해 북한 문학이 지닌 사적 욕망과 공적 윤리의 충돌을 목도하면서 북한사회의 이면적 독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북한문학은 여전히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의 그늘에 놓여 있다. 1992년 이래로 주체문학론을 강조하며 ‘주체사실주의’를 통해 여전 히 ‘수령형상문학’과 ‘선군혁명문학’이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발걸음 담론’과 ‘마식령 속도’로 대변되는 김정은 시대 에도 북한문학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3대 세습이 문학 담론 차원에서는 이미 안착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 고 김정은의 우상화 작업이 김정일 시대의 담론을 계승하면서 전면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이드러난다. 북한소설사는 새로 쓰여져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새로 읽기’이다. 새로 읽는다는 것은 기존의 체제 중심적 담론에 수렴되지 않는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분석과 해석, 평가가 새로이 뒤따르는 것임을 드러낸다. ‘조선문학사의 일부’가 아니라 ‘남쪽에서 읽은 북한소설사’는 북한 체제 내부의 담론으로 수렴되지 않는다. 남한의 외 부적 시각이 개입되어야 비로소 비판적이고 입체적인 ‘북한소설사’가 쓰여지고, 그것이 ‘남북한 통합문학사’의 첫 단추 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을 염두에 두고 시론적 성격으로 쓰여진 글이다. 남한 연구자의 시각에서 더욱 비판적인 텍스트 독해가 가능할 때 남한 연구자가 쓴 북한소설의 새로운 면모가구명되리라 믿는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 북한소설 개관의 필요성
 Ⅱ. 해방기(1945~1950) 북한소설 ― 고상한 사실주의의 표방
 Ⅲ. 1950년대 북한소설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정립
 Ⅳ. 1960년대 북한소설 ― 천리마 기수의 형상화
 Ⅴ. 1970년대 북한소설 ― 주체 문예이론의 성립과 속도전의 시대
 Ⅵ. 1980년대 북한소설 ― 숨은 영웅의 발굴과 사적 욕망의 표출
 Ⅶ. 1990년대 북한소설 ― 주체문학론의 확정과 폐쇄적 개방의 양면성
 Ⅷ. 2000년대 북한소설 ― 태양민족문학과 선군혁명문학
 Ⅸ. 2010년대 북한소설 ― 선군혁명문학과 김정은 체제의 성립
 Ⅹ.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태호 Oh Tae-ho.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