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퍼지추론을 이용한 울릉도 해양관광자원의 가치평가

원문정보

Value Evaluation of Marine Tourism Resource based on Fuzzy Inference in Ulleungdo

노정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ourist behaviors become more diverse and living standard enhances throughoutthe world, potential demand of marine tourism is growing rapidly. In line with thetrend, the national interest in utilizing ocean resources for the tourism is expandinggradually in Korea. So this study develop on the value evaluation of marine tourismresource used by fuzzy Inference. To evaluate the discrepancy between user'sexpectation and satisfaction degree in marine tourism resource, infer general solutionsto compute the intersection area applying to fuzzy number, then the weak and strongattributes of marine tourism resource are clarified in Ulleungdo. This article disclosedthat fuzzy number model approach is greatly useful to evaluate user's attribute. Toestablish the validity of decision-making in the value evaluation of marine tourismresource, the fuzzy set and fuzzy relation model were employeed to evaluate user'sattribute because these methodologies have been verified very effective in the previoussimilar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establishing a proper standardabout value evaluation of marine tourism resource in Korea.

한국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해외의 해양관광산업에 비해 정체상태에 있는 국내 해양관광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신규 해양관광자원의 개발과 함께 관광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의 기본적인 인프라와 특성을 극대화시킨 해양관광자원 개발전략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관광자원 가치평가 선행연구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고,대상 해양관광자원의 가치평가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크기와 방향을 비교·검토할 수있도록 퍼지이론을 기반으로 한 퍼지추론을 통해 해양관광자원의 가치평가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울릉도의 행정구역상 3개 지역중, 서면의 관광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치평가변수에 있어서 타 지역에비해 관광자원의 차별성과 매력성, 연계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울릉읍에 대한 관광객의 가치평가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관광자원의 잠재성과 연계성, 차별성에 있어서 신속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릉도를방문한 관광객들은 화산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상 부족한 관광기반시설과 안내시스템구축, 주차시설과 화장실을 비롯한 편의시설 및 관광객의 접근 편의성을 평가한 편의성 변수에 대해 매우 낮은 평가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관광정책의 신속한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객이 평가한 가치평가의 결과값을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관광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관광자원의 개발과 관광정책 수립을 통해 울릉도를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해양관광산업의 현황
  2. 울릉도의 관광산업 현황
  3. 퍼지추론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조사설계 및 표본의 특성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정철 Roh, Chung-Chul. 경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