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Competency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K-CIOT)

구인순, 정민예, 유은영, 박지혁, 이재신, 이향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characteristics required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an efficient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y as a means to developingcompetency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To derive the competency indicator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Behavior Event Interviews (BEI’s) on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selected as agroup with superior performance. Next, an expert committee was formed with six members, which went throughtwo Delphi surveys conducted on 23 panelists. Results : The competency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developed in this study is structured into a three-levelhierarchy, consisting of two competency clusters, ten competency components, and 54 indicators. For the jobexecution competency cluster, four competencies were derived, and for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competencycluster six components were derived. Conclusion : The competency indicators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critical data to fosteroccupational therapists, train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and improve the relevant curricula in the future. Identification of these competencies in different areas will provide more meaningful reference data for setting upnew training and education course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 기술,태도, 특성 등에 관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competency indicators)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역량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문헌검토와 우수한 수행 집단으로 선정한 8명의 작업치 료사에게 행동사건면접을 실시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작업치료학과 교수와 임상가, 총 6명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역량지표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업치료 전문가총 23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로 총 54개의 지표가 개발되었으며, 역량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2 개 역량군, 10개 역량요소의 총 3단계 위계구조를 가진 역량모형이 구현되었다. 2개 역량군은 직무 수행 역량군과전문가적 자질 역량군이며, 직무수행 역량군에는 이론적 지식, 작업치료 수행Ⅰ(계획 수립 및 중재), 작업치료 수행Ⅱ(자원관리 및 연계), 클라이언트 중심수행 등 4개 역량요소가, 전문 가적 자질 역량군에는 윤리 의식, 전문가 의식, 의사소통, 긍정적 태도와 적극성, 팀워크, 자기관리 등 6개 역량요소가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개념을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과 함께 전문가 개 인의자질에서 접근한 연구하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는 향후 작 업치료사를 양성하고 임상 작업치료사를 훈련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선해 나가는데 중요한 기초자 료를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행동사건면접을 통한 자료수집
  2. 역량 모형 초안 작성
  3. 전문가 협의회 운영
  4. 역량 지표 타당도 검토를 위한 델파이 조사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구인순 Ku, In‑Soo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정민예 Jung, Min‑Ye.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유은영 Yoo, Eun‑Young.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Park, Ji‑Hyuk.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향숙 Lee, Hyang‑Sook. 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