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NCS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VET institutes and the change of qualification system adoption to NQF.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137 university colleges, 34 Korea polytechnics and 7 universities which have joined in Korea Dual system called in Work-learning Dual system. First,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of NCS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VET institute, only 15.5% departments have adopted to NCS. As the survey results of the frequency in use of NCS and Learning Module, Most departments tried to adopt to NCS with their own specific education courses. The highest frequency of NCS is about business and accounting. Also, The highest frequency of learning module is about visual design and health care. Comparing to the using frequency of NCS and Learning Module, the frequency of Learning modules was lower. However, 36.5% of departments have a plan to adopt the learning modules. Second, As the analyzed result of the change of qualification system, few departments gave credit for certificate. They did not think that there are important RPL, prerequisite learning and work experience before entered in university. Moreover, they do not have a plan to give a credit for these experiences. Finally, to disperse NCS-based on VET system, the government needs to have a plan for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using NCS. Also, they have to promote NCS and update NCS system continuously .
한국어
이 연구는 고등직업교육·훈련기관으로 전문대학 137개와 폴리텍 대학 34개 캠퍼스 전체, 일학습병 행제를 수행하는 7개의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고등직업교육·훈련기관의 NCS 교육·훈련과정의 운영현 황, NQF 도입을 위한 기존 자격 인증 현황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 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직업교육·훈련기관의 NCS 교육·훈련과정의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 NCS를 운영하고 있는 학과는 15.5%였으며, 전문대학이 1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CS와 능력단위의 활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과에서 학과와 관련된 산업 특화된 기술·기능에 대한 NCS를 사용하여 교육 훈련을 진행함과 동시에, 교육훈련생의 경영, 서비스 마인드 등을 제고하기 위해 경영, 회계 등의 활용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모듈의 경우에는 시각디자인, 의료 분야의 활용빈도가 높았으며, 현재 학 습모듈을 활용하고 있는 비율을 23.5%에 그쳤으나, 향후 사용할 예정이 36.5%로 학습모듈 활용을 준 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QF 도입을 위한 기존 자격 인증 현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존 자격제도를 통해 취득한 자격증의 인정범위 및 수준을 보면, 거의 대부분의 고등직업교육대학에서 자격 취득을 학점에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학습,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인 RPL(선행학습인 정)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보였다. 최근 구축되고 있는 신자격 체계에 대한 이해도 역시 전문대학 의 경우 평균 이하의 수준이었으며, 폴리텍대학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편이었으며, 실제 활용계획에 대 해서도 평균 이하의 낮은 수준이 나타났다. 따라서 NCS 교육·훈련과정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NCS 기반의 교수학습방법을 보급하고, 관련 교원의 연수를 확대하여 관련 인적자원의 역량을 증대시키 고, 시설 및 교육과정, 산업체의 연계 및 협력 체계 등을 구축하여 환경적 지원을 강화시켜야한다. 또 한,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 NCS 개발 및 업데이트를 통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고찰
1. NCS 기반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 현황
2. NCS 활용 확산 및 모니터링 관련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 수집 및 분석
IV. 연구결과
1. 응답기관의 일반적 특징
2.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운영 현황
3. NCS 학습모듈 운영 현황
4. 자격 인정 현황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