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브랜드 통합 공간 디자인에 관한 기초연구 - 국내·외 ICT매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Integrated Spatial Design of Brand - Focused on Domestic and Abroad ICT Shops -

이돈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various factors, the recent recession has become more protracted. Companies are trying to increase revenues through sophisticated sales strategy, but their tangible, intangible products and marketings are overflowing in the current market and the outcome is minimal despite various attempts to expand private enterprise. Space, service, brand design are developing steadily in selling space, and efforts to satisfy customer’s trend and needs by establishing new design strategies show limitations. This study considered and analyzed the factors and relationship among space, service, brand design through studying store environment of ICT stores of the single-distribution brands that holds many stores. This study was done by extracti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and applying it to the general store brands in the domestic and oversees ICT stores. Analysis of consumer's feelings at the ambience of the brand store showed that international brands incorporated more elements of space design than domestic brands. In the case of local brand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o improve brand image was not evident consistently in all media and no deep bond formation was shown.

한국어

최근의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경기 불황은 더욱더 장기화 되어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고도화된 판매 전략을 통하여 매출 증대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들이 각기 생산하는 유·무형의 상품들과 마케팅들은 시장에 이미 넘쳐 나고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 개별 기업의 시장 확장은 여러 가지 형태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판매 공간에서 공간, 서비스, 브랜드 디자인은 갈수록 진화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트렌드와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여 구매자의 감성에 접근하려 하지만 그 차별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유통 브랜드로 많은 매장수를 보유하고 있는 ICT 매장 환경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의 큰 축인 공간, 서비스, 브랜드 디자인 요소와 관계성들을 고찰 분석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통합 공간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국내ㆍ외의 ICT 매장 브랜드 공간 사례에 적용시켜 종합 분석을 하였다. 브랜드 공간에서 느끼는 소비자 반응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통합공간디자인의 요소를 검증한 결과, 국외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에 비해 통합 공간 디자인의 요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 브랜드의 경우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노력은 있었으나, 일관성 있게 모든 매체에 표현하지 못하여 소비자 감정 창출에 있어서 깊은 유대감을 형성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브랜드 공간 구성 요소
  2.1. 이미지를 반영하는 브랜드
  2.2. 매출향상을 위한 서비스
  2.3. 가치전달을 위한 공간
 3. 통합 공간 디자인
  3.1. 통합 공간 디자인 개념
  3.2. 통합 공간 디자인 요소
 4. ICT 매장 사례조사 및 분석
  4.1. 사례연구 방법 및 대상지 선정
  4.2. 국내·외 사례분석
  4.3. 소결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돈일 Lee Donil.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