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Manufacture Technique for the Gold wire of Phoenix‐Shaped Glass Ewer by National Treasure No. 193
초록
영어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hich is No. 193 National Treasure, was seriously damaged by a unique form of green glass pieces when excavated among a number of burial accessories of Hwangnamdaechong known to have been formed in the 5th century. While it has long been exhibi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ince its treatment for conservation treatment at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in 1984, the existing adhesive materials seriously deteriorated for the 30 years, and the condition was quite unstable. The epoxy resin used as a restorative materials turned yellowing due to the light and heat so much that it was no longer able to exhibit it in a stable and effective manner. As a result, a re-treatment for conservation was conducted lately.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pieces of Gold wires used to carefully wrap up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broken into three pieces,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As for the analysis method for Gold wires, SEM-EDS and Stereo Microscope were used for nondestructive analysi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e SEM-EDS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sition was Au 91.9 wt.%-Au 92.8 w.t% and Ag 5.9 wt.% -Ag 6.5 wt.%, which indicates that it was an alloy made of Au and Ag. The production technique of Gold wires was also observed by means of optical microscopes. In general, Gold wires were manufactured by a drawing process in which a lump of gold was beaten or pulled out of a hole or by a process of twisting a gold plate. However, Gold wires separated from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did not involve any trace of twisting on the surface. Rather, fine vertical stripes were observed with the sections filled up. Hence, it is thought that this Ewer went through a drawing process and then was mended. As a result, no certain relation with the golden mending material used for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as verified. The findings above indicate that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Gold wires recognized them, not as separate remains, but merely as a component of other golden remains. Thus,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Gold wires. The future study on Gold wires may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old wires used to fix the handle of the Phoenix-shaped Glass Ewer, which is examined in this study, with that of golden remains in the Silla era.
한국어
국보 제193호 봉수형유리병은 5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황남대총 남분의 수많은 부장품들 사이에 독특한 형태의 녹색 유리 편들로 심하게 파손된 채 출토되었다. 1984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에서 본격적으로 보존처리 를 실시하여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동안 전시되어 왔지만, 30년이라는 세월로 인해 기존에 사용한 접착제는 심하게 열화가 되어 매우 불안전한 상태가 되었으며 특히 복원제로 사용한 에폭시 수지가 빛과 열에 의해 심하게 황변이 되어 더 이상 유물의 안정한 전시와 효과적인 전시가 이루어질 수 없어 이번에 재 보존처리를 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던 세 조각으로 파손된 봉수형유리병 손잡이 부분을 금사로 정성스럽게 감아 수리에 사용한 3 조각의 금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금사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EM-EDS와 Stereo Microscope를 사용 하여 비파괴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SEM-EDS 분석 결과, Au 91.9wt%-Au 92.8wt% 와 Ag 5.9wt.%-Ag 6.5wt.%으로 Au 과 Ag의 합금인 금제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광학현미경으로 금사의 제작기법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금사는 덩이 금을 두드려서 만들거나 구멍에 밀어 넣어 뽑아내는 인발 가공 또는 금판을 꼬아서 제작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데 봉수형유리병 손잡이에서 분리한 금사는 표면에서 꼬임 흔적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단지 길이 방향으로 미세한 줄무늬 가 관찰되고 단면이 모두 채워진 상태인 것으로 보아 인발 가공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여 보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그동안 금사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금제품 유물의 구성품으로만 인식된 채 별도의 유물로 주목받지 못해 금사에 대한 제작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편이기 때문으로 장차 금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 다면 이번 봉수형유리병 손잡이 고정에 사용된 금사 분석 결과가 기존 신라시대 금제 유물의 금사와의 상호 연관성을 밝혀내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분석 대상
2.2.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3.1. 성분 조성
3.2. 제작 기법
4. 결론 및 고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