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烈婦와 淫婦 사이 - 明末小說 《杜騙新書》의 팜므 파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Between the Chaste Woman and the Shrew: the Portrayal of the (Femme Fatale) in the (Dupian Xinshu)

열부와 음부 사이 - 명말소설 《두편신서》의 팜므 파탈을 중심으로

朴昭賢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ventional images of chaste women and shrews through Ming gong'an fiction and the Dupian xinshu 杜騙新書.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onception of chaste women and shrews was reinforced by the strengthened Confucian gender order in the Ming Dynasty. A chaste woman was portrayed as a submissive woman who would follow the husband and parents-in-law, while the shrew was a cursing and jealous wife who disobeys the husband and his parents. It is a widespread image that the shrew was unfilial and disobedient, while the chaste woman was not. On the contrary, however, we may find that there is only a thin line between the two by rereading a number of stories of chaste women and shrews. This also reflects the fact that both the law and the moral in reality were unable to define the boundary between keeping chastity and losing it or between the loss of chastity and the defamation of it. Therefore, although those female impostors and hooligans committed all kinds of crimes and immoral deeds, their criminal activities were for the most part motivated and caused by their extreme poverty and the collapse of the family relationship. However, what is the most remarkable in the Dupian xinshu is the fact that there actually existed uncontrolled female criminals who avoided the state control and threatened the patriarchal order even in the Ming and Qing period in which the repression of female sexuality became more severe. Furthermore, interestingly enough, we can find the unexpected truth by juxtaposing the chaste women and the female characters of the Dupian xinshu: the aggression and intensity of chaste women. It seems remarkable in that those female characters portrayed in the Dupian xinshu and gong'an fiction reveal the fact that all the traditional women cannot bee seen as the victims of the patriarchal order.

한국어

본고에서는 17세기 초에 간행된 《杜騙新書》라는 범죄소설을 중심으로 이를 明代 公案小說과 비교하면서 상충하는 烈婦와 淫婦의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두편신서》의 원제는 《江湖奇聞杜騙新書》인데, 당시 횡행하던 각종 사기범죄 사례 88편을 소개함으로써 상인 및 서민계층 여성들의 생활상과 그들이 처한 각박한 사회현실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주목할 만하다. 《두편신서》에 등장한 여성 범죄자들은 너무도 대담하게 범법과 패륜 행위를 저지르지만, 이러한 행위의 동기는 대개 생활고로 인한 가족관계의 붕괴이다. 무엇보다도 《두편신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여성성에 대한 억압이 강화되던 명청 시기에도 국법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배회하면서 가부장질서를 위협한 여성 무뢰와 같은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명대에 와서는 유교적 성규범의 강화와 함께 열부와 음부에 대한 관념도 강화되었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열부는 말없이 남편과 시부모에 순종하며 부덕을 실천하는 여성인 반면 음부는 반항적이고 남편과 시부모를 공경할 줄 모르는 여성이다. 열부는 순종적인 반면 음부는 불효불순하다는 것은 명대 이후로 일반화된 이미지이다. 그러나 수많은 열부와 음부 이야기에서 우리는 예상 외로 열부와 음부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두편신서》의 통제되지 않은 여성성을 열부의 그것과 비교할 때, 예상치 못한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즉, 사실과 허구의 열부들 중에는 훼절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스스로를 방어하고 심지어 남성을 공격한 여성들도 많았다는 것이다. 물론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남성의 폭력에 맞선 이들의 행동을 ‘폭력적’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다만 《두편신서》나 공안소설에 등장하는 음부와 열부는 전통적 여성들을 하나 같이 가부장질서의 희생양으로 보는 관점을 수정하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목차

1. 머리말
 2. 《두편신서》의 팜므 파탈 - 무뢰, 사기꾼, 그리고 음부
 3. 이상과 현실 사이 - 열부와 음부의 경계
 4.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朴昭賢 박소현. 成均館大學校 동아시아學術院 助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