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杜甫草堂時期閑適詩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DuFu`s Tranquil Poetry(閑適詩) in Chengdu Caotang

두보초당시기한적시연구

김성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두보가 성도초당시기에 집중적으로 써냈던 한적시를 ‘게으름의 정서’와 ‘도연명의 기식’이라는 두 가지 준거를 가지고 분석한 것이다. 먼저 초당의 공간이 두보가 진주동곡시기로부터 줄기차게 찾고자 했던 이상적 삶의 공간에 가까운 것임을 밝혔다. 진주동곡시기에 이상적 삶의 공간으로 여긴 동가곡과 동곡에 대한 묘사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水竹’이라는 생태환경 조건이 완화계 초당의 공간에서 완벽하게 실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진주동곡시기에 두보가 ‘게으름을 실현하는 공간’을 이상적 공간의 특성으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성도 초당을 언급하는 시에 자주 등장하는 ‘게으름’에 대한 언급은 두보가 초당을 이상적 삶의 공간으로 여기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어서 두보가 성도 초당에서 실현하고자 했던 게으름의 구체적 내용을 음주와 산보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성도초당시기에 쓰인 한적시에는 유독 술에 대한 언급이 많다. 이러한 다양한 음주 행태는 모두 완화계 초당이라는 이상적 삶의 공간에서 두보가 자신의 천성인 게으름을 완성해 가기 위한 노력이다. 이상적 삶의 공간에서 게으름을 완성시키는 방식으로서 음주 외에 또 한 가지 두보가 보여주는 삶의 방식은 바로 완화계 초당 주위를 천천히 걷는 것, 즉 산보다. 마지막으로 초당시기에 지어진 한적시에 자주 드러나는 도연명의 기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좌절된 젊은 시절의 꿈, 칩거하여 세상과 단절하여 사는 고고함, 농부들과 아무런 격의 없이 어울리는 모습, 속물이 아닌 소박한 마음을 가진 진실한 사람들과의 교유 등등에서 두보는 일상에서 도연명의 모습과 매우 닮아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하여 초당의 일상생활 속에서 도연명처럼 살아가고자 했던 두보의 심태를 짐작할 수 있다.

중국어

這部論文是把杜甫成都草堂時期閑適詩以‘懶惰情緖’和‘陶淵明氣息’來分析的. 成都草堂是杜甫從秦州同谷時期一直尋覓的理想空間. 在秦州同谷時, 杜甫以爲東柯谷和同谷是理想的空間, 常用‘水竹’詩語來表現那空間的秀麗, 杜甫描寫成都草堂時也常用‘水竹’詩語. 這是成都草堂便是杜甫心目當中的理想空間的傍證. 杜甫曾經說過‘東柯遂疏懶’, 他在成都草堂頻繁提起‘疏懶意何長’, 這是成都草堂便是杜甫心目當中的理想空間的的確證據. 在成都草堂杜甫欲‘遂疏懶’的具體的行爲有兩種. 一種是飮酒, 一種是散步. 另外, 硏究成都草堂閑適詩的時候, 很値得注目的便是陶淵明的氣息. 通過閑適詩內常發現的陶淵明氣息, 可以推測在日常生活上杜甫很想效法陶淵明的生活態度和精神方式.

목차

1. 서론
 2. 이상향의 표지 - ‘水竹’과 ‘게으름’
 3. 게으름 실현의 방식 1 – 음주
 4. 게으름 실현의 방식 2 – 산보
 5. 도연명 식으로 살아가기
 6.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저자정보

  • 김성곤 Kim , Sengk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