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병장 김덕령 장군의 생애와 한(恨)에 관한 소고(小考)

원문정보

A Study on Voluntary Soldier Kim Deok-Ryong's Life and Grief

오수열, 황태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normal to say that the Korean people have endured much grief. This may be derived from a history of hardship in that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foreign invasions due to the fact the peninsula is stuck between powerful countries.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is was derived from the sorrow of the regional discrimination Baekje endured after it collapsed under the Allied Forces of the Shilla and the Tang Dynasty. There are many people who were oppressed and did not have a way to exercise their wills just because they were born and brought up in Jeollanamdo. A voluntary soldier Kim Duk-Ryong is a representative case. Kim Duk-Ryong who was born in Gwangju in 1576, raised volunteers in 1592 during the Imjinweran and joined in the battle. However, after Kim Duk-Ryong joined in the battle,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Ming Dynasty changed their political direction to encourage negotiation with Japan. This restricted his strong intention to fight against Japan and as he was deprived of an opportunity to distinguish himself in battle, he had to soothe his grief through alcohol. As the battle did not start for such a long time while the political situation was negotiated, soldiers were negligent and military rules and official discipline slackened. At that time, some soldiers kept deserting their barracks and a servant from a powerful family happened to die in this process while Kim Duk-Ryong controlled desertions. In addition, when he led the army to suppress Lee Mong-Hak's revolt in Chungcheongdo, he was sentenced to death in August, 1596 because of the false incrimination that he was related with rebels. Kim Duk-Ryong who raised volunteer soldiers with the great intention to save his country which was in danger was executed when he was in his thirties without giving any meritorious service in war. All the people of Jeollanamdo were sad about the fact that Kim Duk-Ryong, who was admired by the village people because of his dauntless vigor, was wrongly executed. As this sublimed into the grief of the people in this province along with the discrimination they had to live under, Kim Duk-Ryong was highly admired.

한국어

흔히 한민족(韓民族)을 이야기 할 때 한(恨)이 많은 민족이라고 이야기 한다. 강대국가에 끼인 반도국가(半島國家)로써 수많은 외침(外侵)을 겪어야 했던 고난 의 역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국내적으로는 전라도(全羅道)가 가장 한(恨)을 많을 지닌 지역이라고 한 다. 백제(百濟)가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에 의해 멸망된 이후 겪었던 지역차별에 서 비롯된 서러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자연스럽게 전라도에서 낳고 자랐 다는 이유만으로 권력으로부터 박해 받고, 그 뜻을 제대로 펴지 못한 사람들이 적 지 않다. 의병장(義兵將) 김덕령(金德齡) 장군이 그 대표적인 경우에 속한다고 하 겠다. 1576년 광주에서 태어난 김덕령은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 (義兵)을 모집하여 전투에 참전하였다. 그러나 김덕령이 참전한 후 조정과 명(明)나라는 일본과의 화의(和議)를 도모하 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이는 자연스럽게 김덕령의 강경한 전투의지를 제 약하였고, 전공(戰功)을 세울 기회가 박탈된 김덕령은 술로 울화를 달래야 하였다. 장기간 전투가 전개되지 않고 정국(政局)이 화의 분위기로 바뀌면서 병사들은 태만하여 졌고 군율(軍律)과 기강은 해이하게 되었다. 이때 김덕령의 부대에서도 탈영자가 속출하였고, 김덕령이 이를 엄하게 다스리 는 과정에서 세도가의 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충청도에서 발생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출병하는 과정 에서 역도들과 관련이 있다는 모함으로 인해 김덕령은 결국 1596년 8월 형장에서 죽음을 당하게 된다. 위급지경에 처한 국가를 구하겠다는 큰 뜻을 품고 의병을 일으킨 김덕령은 커다 란 전공도 세우지 못한 채 역적으로 몰려 30세의 나이로 처형된 것이다. 소년시절부터 뛰어난 용력(勇力)으로 지역민의 기대를 모았던 김덕령이 억울하 게 처형된 데 대해 전라도 사람들이 애통해 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리고 이는 전라도가 겪어야 했던 차별과 함께 이 지역민들의 한(恨)으로 승화되면서 김덕령 은 더욱 신격화(神格化) 되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김덕령의 출생과 성장
 Ⅲ. 김덕령의 의병활동과 모함
 Ⅳ. 김덕령의 한
 Ⅴ. 맺는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수열 Oh, Soo-Yol.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황태섭 조선대학교 대학원 군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