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삶의 가치를 지향하는 교사의 의식과 미술 수업의 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sciousness toward a Value of Life and Art Class

김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needs exist in order to connect teachers and students' values of life and the art class. A section, “Art education for Life,” offers a descrip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and describes ou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 utilized a portraiture methodology, and selected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twenty-four years of experience. In addition to observation of lessons in the classroom,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d the complex patterns and key aspects in the teacher’s consciousness. We found three categories of connection between the teacher's life values and the art class, including: an extension of boundaries, looking at the world differently with artistic imagination, and works as a self-expansion space.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regarding further research into teacher's lives and the connection with art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삶과 미술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교사의 의식이 어떻게 미술 수업으로 실현되는지를 살펴 본다. 이를 통해 교사의 삶의 가치와 미술 수업의 관련성을 밝히고, 삶을 중심에 둔 미술 수업을 위 해 먼저 교사 자신의 삶을 들여다볼 필요성과 가치를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제까지는 미술 수업 이 학생들의 삶에 초점을 맞춰 논의되다 보니 교사들이 지향하는 삶의 가치에는 관심을 두지 못했 었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연구의 이론적 틀이 되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법적 접근의 양상들 을 설명하고, 연구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초상화법을 적용 하여 24년의 교직 경력을 가진 초등교사 1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부터 12월동안 심층면담과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의식이 미술 수업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과 주요한 측면들을 해석하였다. 해석된 결과는 경계의 확장,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예술적 상상력, 자아 확장 공간으로서의 작품이라는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교사의 삶의 가치와 미술 수업의 관계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왜 교사 자신의 삶과 미술 수업의 관계성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서론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법적 접근
 연구방법 및 절차
 김교사의 초상화
  경계의 확장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예술적 상상력
  자아 확장 공간으로서의 작품
 김교사가 지향하는 삶의 가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외순 Oae-soon Kim. 서울천왕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