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국 전통미술교육과 오리엔탈리즘 : 이데올로기적 내재화와 재생산의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Orientalism and Its Implication towar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최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I taught junior art education major students in 2014 in Korea, I was surprised to learn they already possessed a priori knowledge of what values to teach in the area of cultural education through art heritage. Most offered automatic responses sharing the same set of key words without hesitation regarding purposes, implications, and methods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n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assets. They articulated similar reasons for this by crying out, “We might loose our identity if we do not teach our cultural heritage properly.” That experience has led me to this paper's purpose, to reflect and seek what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s have had impact on students' beliefs and attitudes. The paper begins with an investigation into social, cultural pedagogical discourses embedded in discourses of Korean cultural tradition, followed by an elaboration of two major findings. First, there are essentialists who prefer to appreciate cultural assets didactically rather than allow for a creative transformation of them. In addition, they favor acceptance of the superiority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r artifacts when judged internationally. Second, the framework that Orientalism shaped, which was incorporated by Japanese colonialists to colonize Kore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remains effective in shaping thinking/beliefs system, while disguising itself in the name of cultural superiority. This paper conclude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third space to deconstruct both the hegemony and binary of Orientalism in Korean society.

한국어

본 논문은 미술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의 교수와 관련해 당위론적 접근이 팽배하고 교수할 교과내용 이 선험적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는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미술교육에 관한 담론을 고찰해 본 결과, 원형그대로의 보존을 중시하는 본질주의적인 접근과 다른 국가와의 비교 속에서 전통문화의 가치를 발견해 내는 비교주의적인 두 가지의 다른 접 근법이 결국은 같은 원류, 오리엔탈리즘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전통문화의 “재해석”과 “현재화”에 경직된 반응을 보이는 본질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입장과,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한국 고유의 차별적 인 문화로서 세계문화에 필적할 만한 민족문화의 계승을 추구하는 입장은, 비록 문화적 순수성, 차별 성, 고유성을 탐색함으로 민족 정체성의 자존감을 드러내는 기제로 작용하였지만, 일제강점기에 식민 지배 논리로 차용되기 시작한 야나기 무네요시의 오리엔탈리즘의 논리를 내재화하고, 이데올로기적으 로 재생산 하면서 생성된 시각임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식민지배담론인 오리엔탈리즘이 촉발시 킨 이항대립의 현실 인식 구조를 해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식론적, 문화적, 교육학적 대안들 이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서론
 전통미술교육에 관한 담론들
 오리엔탈리즘에 기반한 전통미술 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문제의 재인식: 문제를 명명하기
 결론 및 제언: 제 3의 공간과 미술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성희 Sung-Hee Choi.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