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사회 침묵의 문화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연구

원문정보

A Christian Ethical Study on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n Society - Beyond an Oppressive Structure of Order and Control toward Participating in Truth-in-Relations -

박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ocial meanings of silence could be variously evaluated. However, if a culture of silence works as an oppressive system for order and control in the society, it can be a major obstacle to not only individual but also communal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there have been a distorted culture of familism based on collectivism which leads to silence on injustice and corruption, an absence of trustful social groups that can speak for the marginalized, and a coercive culture of internalization of others' values. Youth members in Korean schools have been forced to accept uniform orders and obedience rather than to express their own stories and thoughts, which can lead to a culture of silence. Korean churches based on a strong dualism between church and society have emphasized a depoliticized Christianity as a goal of people of faith. As a result, Korean churches could not help lay members to be active moral agents and to consistently make a moral reflection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theology, theological sin could be committed when theology gets lost in responsibly criticizing current structures of social evils and creatively naming concealed social evil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Korean churches and theological fields, I suggest that we should distinguish between confessional languages and realistically analyzing languages in our harsh realities and try to realize human basic values like freedom, equality, and justice. To go beyond a culture of silence in Korean society, these critical points need to be reconsidered: 1) socially multi-layered meanings of silence, 2) critical questions of who wants to force a culture of silence and why, 3) official channels through which various opinions and thoughts of different local communities and churches, and 4) a process of building up socially trusted groups that speak for the marginaliz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suggested points, the major role of Korean churches as communities of faith need to be reevaluated. Finally, a direction toward overcoming a culture of silence is related to changing the closed system of truth into multi-dimensions of participating in 'truth in relations.'

한국어

침묵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역할은 다양하게 평가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침묵이 명령과 통제라는 억압적 기제로 작용한다면, 침묵의 문화는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을 가로막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특 히 한국 사회 내에서는 왜곡된 가족주의 문화와 같은 집단 이기주의를 중심으로 부정과 부패에 관해 침묵하는 문 화, 사회적 신뢰집단의 상대적 부재로 인해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하는 침묵의 문화, 개별적인 책 임적 자아의 가치판단과 실천에 개입하여 순응시키고 통제하여 침묵을 강요하려는 문화 등이 존재해 왔다. 한국 사회 내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이야기를 풀어낼 표현의 자유보다 획일적 순응과 복 종이 성숙이라는 잘못된 메시지를 통해 침묵을 학습해 왔다. 교회는 현실주의적 이원론을 근거로 비정치화된 기 독교 신앙을 중요하게 여겨왔기에, 사회 속에서 도덕적 주체들을 형성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도덕적인 숙고와 실 천을 이끌어가도록 제대로 돕지 못했다. 신학의 현장은 사회적 악의 문제에 대한 비판과 악의 구조를 새롭게 명 명하여 읽어낼 작업을 지속적으로 감당하지 못할 때, 신학의 침묵이란 신학적 죄에 빠지게 된다. 한국 교회 내에 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앙고백적 언어와 현실분석적 언어를 구별해 내는 작업, 인간의 기본가치 실현을 향한 다양한 노력들을 포용해야 할 것이다. 침묵의 문화를 넘어서기 위해 고려해야 할 것들은 첫째로 침묵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의 층위가 매우 복합적이라 는 점, 둘째로 누가 왜 사회적인 침묵을 강요하는지 지속적으로 질문하는 작업, 셋째로 지역 공동체, 신앙 공동체 등과 같은 크고 작은 공동체들의 서로 다른 의견들이 공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는 일, 넷째로 다양 한 신뢰집단의 생성이란 과제들이다. 이와 같은 방향성을 향한 실천의 도덕적 주체로서 교회 공동체가 사회적으 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침묵의 문화를 극복하려는 방향성은 단 하나의 진리라는 폐쇄적 구조에 서 벗어나 ‘자기-관계적 진리’라는 차원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진리로 여겨지는 것이 새로운 관계성들 가운데서 어떠한 동인이 되고 있는지를 참여적 실천을 통해서 알아가고 경험해 가는 것이다. 획일적 명령과 통제에 의한 강요된 침묵이 아니라, 서로의 다른 의견과 가치, 그로 인한 새로운 방향성과 실천에 감탄하고 동의하는 의미의 침묵이 새롭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강요된 선택, 침묵
 II. 학교에서의 침묵: 스스로의 삶을 이야기 할 힘을 가지고 있는가?
 III. 도덕적 숙고의 장으로서의 교회: 침묵에서 사회적 증언으로
 IV. 침묵의 사회적 구조 앞에 선 신학과 그 과제
 V. 하나의 틈새 만들기: 사회적 침묵 속에서 성찰하고 실천하기
 VI. 나가는 말: 폐쇄적 신정의 유혹으로부터 참여적 진리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우영 Wooyo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강사, 실천신학, 기독교윤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