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기 기독교 성만찬에 있어서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 기독론 중심에서 삼위일체의 조화로 -

원문정보

Theological Development in Eucharist Theology of the Early Church - From Christology toward Trinitarianism -

전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euchristic theology. Originally, the euchristic theology began apparently with Christological approach. It might not be an one-side view that this observation is resonable. However, this Christological view on the Christian euchrist had been changed as the trinitarian eucharistic theology in the early Christian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euchristic theology from Christology to Trinitarianism. The trinitarian eucharistic theology was a significant sourc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odern euchristic structure and meaning in the second-half of twentieth century. This trinitarian eucharistic theology of the early christianity is a result of ritualization of early Christian's experience. It still places at the center of comtemporary eucharistic theology. Even thou the liturgical documents in the early Christianity are not enough to observe and examine it's eucharistic theology, they informs us about how the early church has made an eucharistic unity in diversity. Also they show the process about how eucharistic theology has developed toward unity. Trinitarian structure and theology has been recovered in the Great Thanksgiving today. The harmony of Father God, Son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is not for decorating a long prayer but for making congregation to encounter God's mystery that the early Christians have experienced. Now what the contemporary liturgical renewal process encourages us is to rethink of our church and eucharist as its act in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variety of cultures, preserving the essential elements in Christian faith. We do not need to walk on the same way as the early Christianity has done. However, we do need to learn from the early Christians so that we can meet others at a round table, celebrating the Lord’s Supper.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Great Thanksgiving shown in the liturgical documents of the early Christianity on this point.

한국어

이 논문은 표면적으로는 기독론적으로 출발했던 기독교의 성만찬구조와 의미가 초대교회에서 삼위일체적 성 만찬 구조와 의미로 바뀌는 과정에 대해서 분석한 논문이다. 20세기 후반 기독론 중심의 성만찬의 한계를 극 복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 초대교회의 삼위일체적 성만찬의 구조와 신학은 그 당시 그리스도인들의 경험이 예 전화되고 신학화된 결과였으며, 오늘날 성만찬 신학에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초대교회가 현대에 전 해주는 예전 문서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재 남아있는 문서들은 우리에게 그 당시 교회가 어떻게 다양성 속 에서 통일성을 이루어 왔는지에 대해 알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성만찬의 구조와 의미를 표준화하고 통일성을 이루는데 있어서 어떤 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알게 해준다. 현대 성만찬에 있어서 삼위일체적 구조와 의미의 회복은 직접적으로는 성찬감사기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아버지 하나님, 아들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의 조화는 단순히 성찬기도문을 길게 장식하는 글귀들이 아 니라 초대교회가 성만찬에서 경험했던 하나님과의 신비한 만남을 현대에 제공해 주는 귀중한 유산임에 분명 하다. 오늘날 예배 개혁 과정이 보여주는 것은, 역사적이고 지정학적으로 다양한 여러 문화들 속에서 우리가 교회의 중요한 의식 가운데 하나인 성만찬에 대해서 다시 생각 해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숙고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요소들을 바탕 위에서 되어야 한다. 우리는 예배 갱신에 있어서 초대교회가 걸어 왔던 똑 같은 길을 걸어 갈 필요는 없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초대교회의 성만찬 발전의 과정으로부터 배울 필 요가 있다. 이러한 배움을 통해서 우리는 주님의 만찬에 참여하며 다양한 예배 전통들과도 둥그런 탁자에서 만날 수 있다. 이 논문이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초대교회의 “성찬 감사기도”의 발전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초대교회 예배 문서들과 성만찬의 삼위일체적 의미와 구조의 발전
  1. 신약성서 본문
  2. 순교자 저스틴의 『첫 번째 변증문』17)과 클레멘트(Clementof Alexandria)의 『Paedagogus』
  3. 『디다케』(Didache)
  4. 『사도전승』(Apostolic Tradition)과 시프리안 (Cyprian)의 “주님이 가르치신 기도에 대하여”
  5. 예수살렘의 시릴(Cyril)의 “신비에 대한 세례 교육”(MystagogicalCatechesis)과 『사도헌장』(Apostolic Constitutions)
 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창희 Changhee Jeon. 협성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예배와 설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