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digital storytelling to the traditional portrait which includes the various historical and personal stories for modern transformation of it. I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aintings, there is a oversimplified analysis of the narrative about traditional portrait.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odern meanings of the traditional portrait are very essential.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storytelling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ortrait of Kim, Hongdo and applies for modern transformation. This research has the implications for moder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art that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traditional portrait includes ideological and aesthetic significances by the digital storytelling.
한국어
본 연구는 전통 인물화의 현대적 정체성 확립과 현세적 변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웹기반에서 개방적 이고 다매체성을 통해 의사소통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탐구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예시 로 김홍도의 도석인물화를 선정하고 작품 속에 담겨있는 내러티브와 예술적 의의를 탐색하였고 김홍도의 신화적 스 토리를 디지털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 인물화에 대한 내러티브 기반의 디지털 스토 리텔링의 개발전략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도 확인하였다. 전통 인물화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역사인물이 갖는 역사적,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이 현시대에 공감적인 의미를 지니도록 시대 반영적 해석 및 변용 을 하는데 유용한 접근이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김홍도의 도석인물화
3. 전통인물화에 내재된 내러티브 요소
3.1 현세적으로 통용되는 가치지향
3.2 내러티브 구성요소들의 구조화
4. 전통 인물화의 현대적 변용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4.1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유용성
4.2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전략
4.3 기대 효과
5. 논의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