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사회 최고지도자 양성교육에서의 시민학습활동의 평생교육적 의미 탐색 - 남양주市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Lifelong Educational Meaning of Program : The Case of Namyangju City

임정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ifelong educational meaning and how learning activities of people who are aiming to be a leader of a local community have proceeded through an illustration of Namyangju, a lifelong education city.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5 people who have successfully finished the course and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graduate student association. The research was taken to explore motivation, learning activities, and the changes they experienced after learning by thoroughly interviewing the subjects.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ir motivations for taking education course is activity-oriented, which is one of the participation reasons that Houle mentioned. The second finding is that they had strong emotional attachment and satisfaction toward their local community and this often acted as a source of enthusiasm and energy. They voluntarily took the initiatives in making community stronger and sustainable. The last finding is that it is one of civic leader's competency program and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among the six legal life long education fields. People who were previously did not find a chance to show their talent found their place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became the leader and contributed to community and society. Therefore, there should b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coordin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Also, the role of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which is to make people solve problems on their own should be more enhanced. Lastly, continuing education refresher training and post management with the aid of community for reinforcing solidarity and bond among the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도시 남양주시 사례를 통하여 지역사회 최고 지도자 양성교육에서의 시민학습활동은 어떠하며 평생교육적 의미가 무엇 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을 수료하고 원우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고지도자 양성교육 참여 동기와 학습활동, 그리고 학습활동으로 변화에 대하여 심층면접으로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는, 교육 참여 동기는 Houle(1961)의 성 인교육 참여 동기 중 활동지향형(activity-oriented)이며, 명문대학 운영이었 다. 둘째, 교육 참여자들은 지역에 대한 강한 애착심과 충만한 만족감을 느 끼며 자체발광으로 에너지를 얻고, 하나 되는 지역공동체의 불씨를 자처하 며 소금 같은 존재로 지속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셋째, 최고지도자 양성교 육은 평생교육법 6대 법적 평생교육 영역 중 시민참여교육에, 시민리더역 량프로그램에 속하였다. 지역의 숨은 인재가 평생학습으로 최고지도자가 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한 양질의 평생학습 확대,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시민참여교육의 역 할 강조, 교육 참여자 결속력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보수교육 등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지역사회 최고지도자 양성교육
  2. 시민학습활동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1. 지역사회 최고지도자 양성교육의 참여 동기: 인맥형성을 통한지역 활동지향 및 명문대학 운영교육 참여함으로써 학력에 대한콤플렉스 해소와 가치를 높임
  2. 시민학습활동의 의미: 지역에 대한 강한 애착심과 에너지를 얻음, 지역공동체의 불씨가 되어 소금 같은 존재로 지속되기 바람
  3. 평생교육적 의미: 지역의 숨은 인재가 평생학습으로 최고지도자가 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함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정임 Jeong-Im Lim. 남양주시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