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빨간 구멍』에서의 매체 이미지 수행 방식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Performative Method on the Media Images of 『The Red Hole』

서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The Red Hole』(directed by Suh, Yong Chu, 2013), a contemporary experimental animated film, which is a mixture of heterogeneous media of celluloid and webcam.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today, 『The Red Hole』 explores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ogue and digital media, and searches the multi-level effects of images generated from the media. First, 『The Red Hole』 focuses on the celluloid, a slowly disappearing medium of the digital age, and emphasizes the materiality and the apparatus in the cinematic condition by punching holes in 16mm red film leader. Second, 『The Red Hole』 reveals the virtuality and phantasmatization of the digital technology by showing and manipulating the webcam video footage of a telepresented female/mother -a low quality video recorded about 10 years ago.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form and the content of media complementarily interact each other and examines through the epistemic implication of the media images according to the performative method of 『The Red Hole』.

한국어

본 논문은 셀룰로이드와 웹캠이라는 이질적인 매체들을 혼합한 동시대 실험 애니메이션영화 『빨간 구멍』(감독: 서영주, 2013)을 분석한다. 『빨간 구멍』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 미디어 상황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대표하는 각 매체들의 존재론적 특수성을 고찰하고, 이들이 발생시키는 다층적인 이미지 효과들을 탐색하고 있다. 먼저 『빨간 구멍』은 디지털 시대에 소멸되어가는 셀룰로이드에 주목하여 16mm 붉은색 필름 리더에 구멍을 뚫어 매체의 물질적 속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영화의 조건과 장치를 드러내었다. 또한 『빨간 구멍』은 10년 전 녹화한 웹캠 영상을 소환하여 원격현전하였던 여성/어머니 이미지를 파편적이고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웹캠 비디오가 지니는 가상성과 디지털 기술의 환영성을 폭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빨간 구멍』의 매체 수행 방식을 중심으로 매체의 형식과 내용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며 인식론적 함의를 파생시키는지를 분석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2. 『빨간 구멍』에서의 매체 수행 방식
  2.1 웹캠
  2.2 셀룰로이드
 3. 매체 수행 방식과 이미지가 파생시키는 함의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영주 Suh, Youg Chu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