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1963)의 회별 구성과 자료적 특징

원문정보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1963)

송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details of talk parts and performing parts of Park Rokju’s Chunhyangga recorded in 1963 and broadcast by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CB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alk parts of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its 1st and 5th episodes, it is determined that this Chunhyangga is Cheong Jeongryeol-je(制) and Park Rokju has a strong sense of pride of it. Second, its 3rd, 6th and 7th episodes show Park Rokju’s view of pansori drummer, drumming method, ideal vocal for pansori, and pansori’s je(制). Third, CBS music manager Choi Seongjin’s mention of 12th episode gives evidence for Chunhyangga’s source. Meanwhile, talk parts were replaced by commentaries by Chang Sahun in from 8th to 10th episodes, and these commentaries had mistakes. Next, performing parts of CBS record Park Rokju’s Chunhyangga and another Cheong Jeongryeo-je Chunhyangga, Park Choseon’ and Choi Seunghui’, have a number of things in common. Common examples of this are scenes that Chunhyang has a first night with Lee Mongryong without her mother’s permission, Chunhyang and Lee Mongryong part at the Orijeong Pavilion, gisaeng Nanhyang urges Chunhyang to give new Namwon Magistrate Byeon Hakdo bed service, and so on. But there are several other differences between Park Rokju’s Chunhyangga and Park Choseon’․Choi Seunghui’. Examples include a composition of Chang and Aniri, a length of pansori lyrics, an insertion Aniris as jokes or puns, singing par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방송에서 1963년 봄에 녹음하고, 1964년 4월 20일부터 5월 13 일까지 방송한 박록주 <춘향가> 자료의 구체적인 실상을 회별로 고찰하고, 대담 자 료․연창 자료 그 각각에서 주요하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확인해 보았다. 우선 1회부터 12회까지, 각 회별로 대담과 연창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 내용을 상 세히 밝혔다. 장사훈-박록주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의 일부를 직접 제시하고, 그 내 용을 지금까지의 판소리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에 의거해 분석하거나, 그러한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 판소리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 연창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정 정렬-김여란 계열의 박초선 <춘향가>, 최승희 <춘향가>의 사설․장단과 정정렬- 박록주 계열의 본 박록주 <춘향가>의 사설․장단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의 대담 자료를 통해서는, 박록주가 정정렬제 <춘향가>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자부심, 그리고 고수의 기능 가운데 특히 ‘보비위’를 중시 하고, 천구성보다 수리성을 판소리의 이상적인 성음으로 생각했으며, 판소리 ‘제 (制)’의 의미 해석에 있어 사설이나 내용보다는 선율이나 악조에 기준을 두었던 박 록주의 판소리관을 엿볼 수 있었다. 대담 자료는 본 박록주 <춘향가>가 기독교방송 에서 녹음․방송된 사실을 입증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다만 장사훈의 해설로 대 체된 8회~10회 대담 자료는 내용상 실수가 적지 않았던바 아쉬움을 남겼다. 다음 연창 자료를 통해서는 박록주의 <춘향가>가 정정렬-김여란 계열의 박초선 <춘향가>, 최승희 <춘향가>와 상당히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박록주는 대담을 통해 자신의 <춘향가>가 정정렬제임을 강조했는데, 실제 사설 과 음악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이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박록주가 부른 <춘 향가>의 사설과 음악이 박초선 창본․최승희 창본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했던 것은 아니다. 창/아니리의 구분과 장단 구성, 사설의 축약과 부연, 재담적․언어유희적인 아니리의 삽입, 소리 대목의 드나듦, 사설 자체의 내용과 표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 다. ‘춘향과 이도령이 정표 교환하는 대목’, ‘신관사또 내려오는 대목’, 운봉영장이 이 어사를 생일잔치에 들이는 장면, 이어사가 춘향을 떠보느라고 짐짓 수청 명령을 내 리자 춘향이 지환을 받아보고 이어사의 정체를 확인하는 장면 등에서 창/ 아니리의 구분과 장단 구성 면의 차이를, ‘춘향이 이별 말에 사생결단하는 대목’, ‘춘향과 이도 령이 정표 교환하는 대목’, ‘춘향이 옥에서 자탄하다 귀신 울음 듣는 대목’ 등에서 사 설의 축약과 부연 면의 차이를, 이도령이 춘향을 요여(腰輿)에 태워갈 꾀를 내는 장 면, 농부가 남원 고을의 ‘사망(四妄)’을 이야기하는 장면, 기생이 이어사를 비꼬며 권 주가를 부르는 장면 등에서 재담적․언어유희적인 아니리 삽입 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리 대목이 들고나는 예는 일명 ‘춘향방 그림 사설’, ‘갈까부다’ 등에서, 사설의 내용 및 표현이 확연히 차이나는 예는 ‘춘향이 황릉묘 다녀오는 꿈을 꾸는 대 목’, ‘춘향이 이어사의 수청 명령을 거절하는 대목’ 등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글의 목적은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 자료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데 있 었던바, 그 사설과 음악적 내용을 박초선 창본, 최승희 창본의 그것과 비교 하는 작업에 있어 박록주 창본이 중심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정정렬제 <춘향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박록주 창본, 박초선 창본, 최승희 창본을 동 궤에 놓고 비교해야 하며, 정정렬제 <춘향가>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여타의 창본도 그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대한 논의는 후고를 기약하기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1963)의 회별 구성
 3. 기독교방송 박록주 <춘향가>(1963)의 자료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미경 Song, Mi Kyo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교양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