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전통조경분야의 정원 명칭 사용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Consideration of the usage of the term ‘Jeong-Won’ in the field of traditional landscape

하태일, 권오영, 김미희, 김주범, 안영태, 진상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rrently, the term ‘Jeong-Won’ is widely used as a common term. This term has been widely used with the established theory that it was cre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by the Japanese from translating the word ‘garden’ in English. In recent years, a theory that the term ‘Jeong-Won’ was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as emerged. Meanwhile,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field,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until now on whether or not the term ‘Jeong-Won’ can be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rds of the examples related to ‘Jeong-Won’ in old literatures, to clarify in what ways these examples were used differently, and to investigate if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term ‘Jeong-Won’ in traditional landscape. In this study, we chose to analyze the aspects, such as the usage of, differences in, and etc., of the terms related to ‘Jeong-Won’ in primary literature materia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nerally, ‘Jeong’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garden attached to a building. Sometimes, trees were planted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took place in this sp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it can be separated into ‘Jun-Jeong’, ‘Goong-Jeon’, ‘Nae-Jeon’, ‘Whae-Jeong’, ‘Moon-Jeong’, and etc. ‘Won’ is a term that refers to a certain place that is personally owned. It seems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production activities were held, and this space was mainly used in the term ‘Ga-Won’. This space can be separated into ‘Book-Won’, ‘Who-Won’, ‘Sang-Won’, ‘Seo-Won’, and etc.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into ‘Gwa-Won’, ‘Hwa-Won’, ‘Da-Won’, “Yak-Won’, ‘Hang-Won’, and etc. depending on its functions. ‘Po’ or ‘Yu’ was used to describe a place for growing vegetables or raising animals, and combined with the term ‘Won’ it can be separated into ‘Won-Po’, ‘Won-Yu’, and etc. ‘Won-Rim’ is a place built artificially by landscape gardening activities and is also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It is hard to find the examples of the term ‘Jeong-won’ in old literatures before the Sook-jong era of Joseon Dynasty, and it is hard to say that this was a term used commonly. There is some evidence in historical records of the term ‘Jeong-Wo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erm has been commonly used since the old days. When examining the old literatures, ‘Jeong’ and ‘Won’ were used separately mainly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functions. The terms that were used similarly as the term ‘Jeong-Won’ we use right now are ‘Ga-Won’ and ‘Won-Rim’.

한국어

정원(庭園)이라는 용어는 현재 학술용어로서 일상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용어 는 19세기 후반에 일본인들이 서양의 ‘Garden’을 번역하여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것이 정설로 통용되어 왔다. 근래에 정원이라는 용어가 조선 왕조 시대에 사용되었다는 설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전통조경 분야에서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여부를 놓고 지금까지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문헌에서 정원과 관련된 용례의 기록을 살펴보고 이러한 용례가 어떠한 차이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고, 정원이라는 명칭을 전통조경에서 사용하 여도 적합한가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문헌사료에 나와 있는 내용 중 정원과 관계된 용어의 용례, 차이 등을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옛 기록에서 나타난 ‘정(庭)’, ‘원(園)’과 관련된 용어 는 정(庭), 원(園), 포(圃), 원(苑), 유(囿), 원유(園囿), 원림(園林), 정원(庭園) 등 총 8 가지의 용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용례의 쓰임은 다음과 같다. ① 정(庭)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딸린 뜰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나무를 심거나 위 락행위가 일어나기도 했으며, 위치에 따라 전정(殿庭), 궁정(宮庭), 내정(內庭), 외정 (外庭), 문정(門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② 원(園)은 개인소유의 일정공간을 지칭하는 용어로써 그 안에서 위락활동이나 생 산활동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주로 가원(家園)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위치에 따 라 북원(北園), 후원(後園), 상원(上園), 서원(西園) 등으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 과 원(果園), 화원(花園), 다원(茶園), 약원(藥園), 행원(杏園)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③ 포(圃)나 유(囿)는 채소밭이나 짐승을 키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원(園)과 결합하여 원포(園圃), 원유(園囿) 등으로 구분된다. ④ 원림(園林)은 인공적인 조원행위에 의해 만들어진 곳이며 농업생산과 관련된 곳 이기도 하다. ⑤ 정원(庭園)은 고문헌에서 조선시대 숙종 때까지 그 용례를 찾기 힘들며 통용되어 사용된 용어로 보기엔 어렵다. 위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정원(庭園)이라는 용어는 실록에 일부 근거가 있으나 예부 터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어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고문헌에서 볼 때, 주로 위치나 기능에 따라서 정(庭)과 원(園)을 구분해서 사용되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정원 (庭園)의 뜻과 유사하게 사용된 용례는 가원(家園)과 원림(園林)으로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사
 2. 기록고찰 및 분석
  1) 정(庭)과 관련된 용어
  2) 원(園)과 관련된 용어
  3) 포(圃)
  4) 원(苑)
  5) 유(囿)
  6) 원림(園林)
  7) 정원(庭園)
 3. 고찰 및 결과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태일 Ha, Tae Il.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권오영 Kwon, Oh Yo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김미희 Kim, Mi H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김주범 Kim, Ju Beo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안영태 Ahn, Young Ta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진상철 Chin, Sang Chul.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