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조선 왕릉 고석鼓石의 나어두羅魚頭 문양 고찰

원문정보

Study of Naeodu Patterns on Drum-shaped Stones in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신재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ttle is known about the naeodu (羅魚頭, face of a beast biting a ring-handle) patterns engraved on the drum-shaped stones at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Besides their association with the shapes and decorations of the actual drum instrument, their symbolic context or origins are still unclear. It is presumed that the patterns were taken from the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918~1392), and they also bear a close resemblance to the monster face pattern on the roof-tile end unearthed from a Goryeo dynasty royal palace in Gaeseong. It also seems that the use of the motif was not confined to the royal tombs, because the early Joseon dynasty naeodu patterns also resemble the monster faces on stone carvings of the royal palaces. Although the naeodu patterns shows no consistent formative principle through its five-hunderd years of consistent appearance, the following stylistic changes have been observed. The early Joseon dynasty sculptural images feature continuing trad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such as upside-down triangular shape of the head with the horns standing out. In the monster faces made around the 16th century, horns and eyebrows were low-set and horizontal, while the rings in their mouths gradually became smaller and circular in shape. The details of horns and eyebrows continued to evolve gradually to more stylized forms. Towards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horns disappeared and the monster faces became similar to human faces. Since the horns depicted in the naeodu patterns resemble deer horns, one can point to the irrelevance to dragons. The details in eyebrows and horns through the course of the pattern’s stylistic changes also show some similarity to the drag on patterns applied in Joseon dynasty paintings or ceramics. The naeodu pattern is thought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images of dragons, but this will require further study and discussion. A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s of the naeodu patterns in the Joseon dynasty royal tombs,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a general history-based research on them. This in turn may provide us with a clue concerning the reuse of stone parts in the Joseon royal tombs and enable further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monster face patterns.

한국어

조선 왕릉의 고석(鼓石)에 새겨진 나어두문(羅魚頭文)은 고리를 물고 있는 동물의 얼굴형 장식으로 그 명칭 이외에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고석의 형태나 동물 얼 굴형 고리 장식은 북의 특징과도 관련이 있지만 그 의미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 지 않다. 나어두문의 도상은 고려 왕릉에서 이어져 온 것으로 생각되며 개성 고려궁 성에서 출토된 귀면문수막새와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선 초기의 나어두 문은 궁궐 석조물에 장식된 귀면문과도 흡사하여 왕릉 이외의 분야에서도 이용된 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500여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조각된 나어두문은 일관된 조형 원리에 따라 제작되지 는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변화의 흐름이 있다. 조선 초기는 고려에서 기원한 도상적 전통이 유지되는 단계로 머리 위의 뿔이 부각되며 대체 로 역삼각의 형태를 보여준다. 16세기경부터 뿔, 눈썹 등이 수평으로 누운 형태로 나타나고 고리는 작아지면서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변화된다. 뿔이나 눈썹 등의 세 부 표현은 지속적으로 변화를 보이며 후대로 갈수록 점차 도식화의 경향을 보인다. 조선 말기에는 뿔 등이 사라지고 거의 인면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된다. 나어두문의 뿔은 용의 도상적 특징 중 하나인 ‘사슴뿔’ 형태여서 용과의 관련성도 생 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양식적인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눈썹이나 뿔의 세부 표현 이 조선시대 회화나 도자기에 그려진 용과 유사점을 보이기도 한다. 나어두문은 용 의 도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되나 제작 당시에 이것이 용으로 인식되 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 조선 왕릉의 나어두문은 대체로 제작 시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통사적인 연구 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조선 왕릉의 석물 재사용 문제 등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 으며 여타 귀면문과의 상호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나어두문의 명칭과 의미
 3. 나어두문의 기원과 도상적 특징
 4. 나어두문 양식의 변화
  1) 15세기
  2) 16~17세기
  3) 18세기
  4) 19세기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재근 Shin, Jae Keun.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