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충청지역 마한 분구묘의 조사ㆍ연구 성과와 과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sults and Tasks regarding the Mounded Tombs of Mahan in the Chungcheong Region

서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mounded tombs, one of the types of Mahan tombs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also future research tasks.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sorted out according to the three areas of Chungcheong, namely the inland area, west coastal area, and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River Geum. While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the inland area and the west coastal area,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River Geum showed a mixture of them. The research result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origin, time of construction, and social character. Different researchers set different scopes when defining much used pit tombs with ditches and mounded tombs. As for systems, some would emphasize the indigenous aspects, and others would connect them to China. It is estimated that pit tombs with ditches were made in the 2nd century and that mounded tombs(including pit tombs with ditches) were made at the latest in the 2nd century or as early as the 2nd century B.C. Future studies on pit tombs with ditches or mounded tombs in the Chungcheong region should focus on the unification of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investigation into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local cultural areas, changes for changes as well as their origins, and comparison with the tombs along the west coast in the Gyeonggi and Jeolla regions.

한국어

이 글은 충청지역 마한의 묘제 중 분구묘를 중심으로 조사와 연구 성과와 함께 앞으 로의 연구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충청지역의 마한 묘제는 분구묘뿐 아니라 주구토 광묘, 주구목관(곽)묘, 주구묘, 봉토묘, 봉토분 등으로 다양하게 언급된다. 먼저 조사성과는 충청 내륙지역, 서해안지역, 금강중․하류지역의 세 지역으로 나 누어 정리하였다. 충청 내륙지역은 청당동형 주구묘, 서해안지역은 관창리형 주구 묘가 주류이고, 금강중․하류지역은 관창리형이 우세한 편이지만 다소 혼재하는 양 상을 보여준다. 서해안지역은 이후 분구묘가 나타나지만, 내륙지역과 금강중ㆍ하류지 역은 봉분묘가 소수 나타나는 차이도 보인다. 연구성과는 용어와 분류, 계통과 기원, 조영 시기, 사회적 성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용어나 분류의 경우 가장 많 이 사용되는 주구묘, 분구묘 등의 경우 연구자마다 규정 범위도 차이가 있으며, 계통 에 있어서도 토착적인 성격을 강조하기도 하고 주구토광묘나 분구묘 등을 중국의 圍溝墓, 土墩墓 등에 연결시키는 견해도 있다. 조영 시기는 점차 상한과 하한이 모두 확대되었는데, 내륙지역의 주구토광묘 상한은 2세기대까지 올라간 상태이며, 주구 묘, 즉, 분구묘도 늦어도 2세기대, 좀더 이르게 보면 B.C. 2세기경까지 올리고 있어 서 주구토광묘보다는 주구묘가 먼저 나타났을 가능성이 커진 상태이다. 앞으로 주구묘나 분구묘 연구는 용어와 분류의 통일, 충청지역의 지역적, 문화권의 세부적인 차이 파악, 주구묘나 분구묘의 기원이나 출현뿐 아니라 성행을 포함한 변화의 계기, 경기~전라지역 서해안 일대의 주구묘나 분구묘와의 비교 등을 중심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지역별 조사 성과
  1) 내륙지역(<표 1>)
  2) 서해안지역(표 2)
  3) 금강중ㆍ하류지역(표 3)
 3. 주제별 연구 성과
  1) 용어와 분류
  2) 계통과 기원
  3) 조영 시기
  4) 사회적 성격
 4. 연구 과제-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현주 Seo, Hyun Ju.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