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논문

국내 PR효과 측정 및 평가 현황에 관한 연구 : ‘PR대상 수상작’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Public Relations Effectiveness : A Content Analysis of PR Award Winners

오미영, 백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PR case award winners from 2005 to 2014, this study investigatedhow public relations effectiveness was measured and evaluated. Findings show that most ofthe cases presented clear public relations objectives, which were mainly related to behavior. In addition, the cases tended to evaluate public relations effectiveness with respect to programoutput and organization outcome rather than outtake and program outcome. Tenmeasurement indexes, more than half of which were output-related, were used to measureand evaluate PR effectiveness. The research methods most frequently used for measurementand evaluation were survey and secondary data analysis. Furthermore, measurement andevaluation of PR effectiveness varied by type of organization, which included for-profitorganization, government/public organiz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 Finally, during thepast decade there have been no major changes in these measurement and research method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on improving how to measure and evaluate public relationseffectivenes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이 PR효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PR협회 PR대상 수상작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먼저 PR대상 수상작들의 상당수는 PR목표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었으며, 목표 중에서도 주로 행동과 관련된 목표를 제시한 경우가가장 많았다. 또한, PR대상 수상작들은 PR효과를 프로그램 아웃풋 차원과 조직 아웃컴 차원에서 평가하는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아웃테이크와 프로그램 아웃컴 차원에서 평가하는 경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PR대상 수상작들이 평균적으로 사용한 평가지표의 수는 약 10개였으며, 그 중 반 이상이 아웃컴 차원의 평가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PR효과를 측정 및 평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조사방법으로는설문조사와 2차 자료가 가장 많이 사용된 반면, 내용분석은 가장 적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조직성격 (기업/정부 및 공공기관/비영리 조직)에 따라 PR효과 평가차원과 조사방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결과, 비영리 조직은 기업과 정부/공공기관에 비해 아웃테이크 평가를 그리고 기업에 비해 프로그램 아웃풋평가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난 10년간 PR효과 평가차원 및 조사방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일부 조사방법을 제외하고는 PR효과 평가차원 및 평가방법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PR업계에서 PR효과 측정 및 평가의 개선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목차

요약
 연구배경
 문헌연구
  PR효과와 효과평가
  PR효과 평가모델
  PR효과 측정 및 평가 현황 관련 선행연구
  연구문제
 연구방법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코딩 유목
  코딩절차
 연구 결과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오미영 Mi Young Oh.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 백혜진 Hye-Jin Paek.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