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수륙재의 융합적 특성

원문정보

The Amalgamative Character of Korean Buddhist Ritual Suryukjae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22권 2014.12 pp.205-24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Buddhist Suryukjae ritual and its Chinese and Tibetan counterparts. A Korean Suryukjae performance is in fact an amalgam of Chinese text, Tibetan practice, and Korean cultural influences. The ritual text and incineration ceremony are of Chinese origin. The dancing, the playing musical instrument like brass wind, the Guebul (Tanga) and all program is performed only by monks within the temple grounds. Finally, the addition of Korean art renders the performance uniquely Korean. Due to a history of discontinuity in performance practice, today's Korean Suryukjae may be paradoxically more traditional than its predecessor, having ceased to attract government support over time. A typical Korean feature, for example, would have been the indigenous movements of the court and folk dancing performed in traditional dress. Koreans have enjoyed 'fusionising' performance art throughout history. The royal courts of the Silla empire would perform celebratory Chinese and Korean music in turn. The Joseon era royal ancestral rites at the Jongmyo Shrine were play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and Korean instruments within a Chinese ritual frame. So it would not be exceptional for the Suryukjae to be performed in this blended way. The idea was to create something beautiful and to outdo the original. And this is an important lesson for the future of global cultur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Buddhist Dharma, we possess and reproduce the identity unique to this adapted form of Suryukjae.

한국어

본고는 한국 수륙재에 영향을 미친 외래적 요소를 가려냄으로써 그 정체성과 고유성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 수 륙재는 의례문과 소대의식 외에 실제 의례 실행 방법은 티벳 불교의례와 친연성이 많았다. 우리네 수륙재에는 외래 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지만 중국이나 티벳과는 확연히 다르니 그것이 바로 토착화된 한국 수륙재의 정체성이자 고 유성이다. 역설(逆說)적이게도 오늘날 한국 수륙재는 전통의 단절로 인해 오히려 고제의 면모가 유지된 일면이 있고,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함으로써 토착화가 왕성하게 이루어져 한국적 고유성을 더 많이 지니게 되었다. 그 중에 작법무의 복 색과 춤사위는 궁중무와 민간의 춤이 결합된 전형적 한국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한국화된 범패와 더불어 더욱 빛 이 난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신라시대의 향당교주(鄕唐交奏)를 비롯하여 중국의 문묘제례악의 틀 위에 당악기와 향 악기를 결합하여 만든 종묘제례악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은 줄곧 퓨전 악가무를 잘 만들어왔다. 마찬가지로 수륙재 또한 한국 문화의 바탕 위에 중국과 티벳적 요소까지 수용하여 ‘창출어람’의 종합예술의 장이 된 것이다. 이에 본고 에서는 세계 여러 문화가 한 무대에서 만나는 글로벌 문화시대를 맞아 한국 수륙재의 앞으로의 과제는 의례적 여법 성 못지않게 한국적 정체성과 고유성를 확보해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한국 수륙재의 중국적 요소
 Ⅲ. 한국 수륙재의 티벳적 요소
 Ⅳ. 융합적 특성을 지닌 한국 수륙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희 Yoon, So-hee.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