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반도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운용과 두류의 작물화 검토

원문정보

Neolithic Plant Resource Management and Asian legume domestication in Korea

이경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rchaeological research on agricultural origins has developed further owing to expansion of geological interest expanded beyond so-called primary origins and methodological-theoretical development. Archaeobotanical research in Korea increased, but systematic research on plant remains in the Neolithic sites is still limited. This paper reviews plant exploitation patterns of the Neolithic sites, based on archaeobotanical research on the Pyeonggeodong and Munamri sites. These results ar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particularly ones by systematic research. In addition, samples were extracted from grinding slabs and pestles that were assumed to be used for grinding plant resources. At least from the Middle Neolithic period, Neolithic inhabitants in some regions adopted foxtail and broomcorn millets, which were spread from their origins in the Huanghe River China. Moreover, as soon as the idea of cultivation was implanted among Neolithic communities, they experimented managing native legumes, azuki and soybean. As the recent genetic research, archaeological research reflects that azuki and soybean were probably domesticated in multiple times and regions. Korea may have been one of the origins. Korean Neolithic subsistence can be understood as dynamic, feedback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ecology through a perspective from the human-cultural niche construction.

한국어

연구 지역의 확산과 새로운 방법론의 대두 및 작물화와 초기 농경에 대한 이론의 발달은 최근 10 여년 간 선사시대 농경에 대한 연구의 질을 향상 시켰다. 한반도 신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식물고 고학적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 이후 시기에 비해 분석된 유적의 수는 극히 소수이다. 본 고는 식물유체의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고성 문암리와 진주 평거동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신석기 중ㆍ후기 식물자원 이용상을 이전에 분석된 전기 유적의 이용상과 비교하였다. 또한 식물 분쇄용으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갈돌, 갈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세 식물유체, 즉 전분이나 규산체의 잔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신석기 중기 이후에는 황하유역에서 작물화된 후 유입된 조와 기장의 재배에서 더 나아가 토착종인 콩과 팥을 수확하고 아마도 재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 한 적극적인 이용과정에서 청동기 전기까지는 토종 야생종 콩과 팥이 작물화되었으리라 추정되며 이는 최근 유전학에서 제시된 콩과 팥의 다원적 작물화 이론과 부합한다. 신석기 식물이용과 재배 상은 생물체와 환경 상호간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인류ㆍ문화생태적 적소(人類·文化生態的 適 所, human cultural niche construction)’이론에 입각하여 이해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배경과 목적
 Ⅲ. 분석대상과 분석법 개관
  1. 분석자료 개관
  2. 석기에서 미세 식물유체(전분) 추출법
  3. 탄화 식물유체의 형태 비교
 Ⅳ. 분석 결과
  1. 탄화 식물유체의 종류와 조성
  2. 신석기 시기별 식물유체상 비교
  3. 미세 식물유체의 종류와 조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아 Lee, Gyoung-Ah. 오리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