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簡札의 安否人事에 대한 類型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Greeting’s Types of Ganchal in Joseon Dynasty

간찰의 안부인사에 대한 유형 연구

전병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am working on a series of Korean linguistic studies targeting Ganchal(old typed letters in Korea) for many years and this study is for the typology of the [Safety Expression] as the part. For this purpose, [Safety Expression] were divided into a formal types and semantic types, targeting the Chinese Ganchal and Hangul Ganchal of modern Korean Language time(16th century-19th century). Formal types can be divided based on whether Normal position or not, whether Omission or not, whether the Sending letter or not, whether the relationship of the high and the low or not. Normal position form and completion were made the first type which reveal well the typicality of the [Safety Expression]. Original position while [Own Safety] omitted as the second type, while Original position while [Opposite Safety] omitted as the third type, Original position while [Safety Expression] omitted as the fourth type. Inversion type were made as the fifth type which is the most severe solecism in [Safety Expression]. The first type is refers to Original position type that [Opposite Safety] precede the [Own Safety] and the completion type that is full of semantic element. This type can be referred to most typical and normative in that it equipped all components of [Safety Expression]. A second type is that [Safety Expression] is composed of only the [Opposite Safety]. This type is inferior to the first type in terms of set pattern, it is never outdone when it comes to the appearance frequency. Because asking [Opposite Safety] faithfully, omitting [Own Safety] dose not greatly deviate politeness and easy to write Ganchal, it is utilized. The third type is the Original position typ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posite Safety]+Own Safety], but [Opposite Safety] is omitted. The fourth type is a Original position type showing configuration of the [Opposite Safety+Own Safety], but [Safety Expression] is omitted. This type is divided into A ; [Safety Expression] is entirely omitted and B ; such as 'saving troubl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replace [Safety Expression]. The fifth type is inversion type that shown to structure of the [Own Safety+Opposite Safety], unlike the Original position type. This type is the most severe solecism type and real example is very rare. It is because let leading [Own Safety] and ask later [Opposite Safety] for face save is offend against common decency.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the direct type that [Opposite Safety] and [Own Safety] is 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type that separate into the [story]. The semantic types of [Safety Expression] can be classified based on whether Sending letter or not, fast or slow, whether intimate or not, and isolation or not. For Sending letter, [Safety Expression] consists [Opposite Safety(Climate+Inquiry after health+Mental state)+Own safety(status+Inquiry after health+Mental state)]. At [Opposite safety], [Climate] could be subdivided as [Season] information and [Climate(weather)] information. Also, [Mental state] is divided as receiver's [Family Safety Mental state] and [Individual Safety Mental state]. In [Own Safety], [Status] is divided as receiver's traditional situation; [Recent condition] and receiver's ongoing situation; [Present condition]. [Inquiry after health] is also subdivided as receiver's [Family Safety] and [Individual Safety], [Safety] is as [Family Safety] and [Individual Safety]. Likewise, [Inquiry after health] or [Safety] is usually used as pairs, in dimension of [Family] and [Individual].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occurred from a big family system, which is defined as taking care of one's parents or grand parents. As for the Written Reply, [Safety Expression] consists [Opposite Safety (Reception+Inquiry after health+Mental state)+Own safety(status+Inquiry after health+Mental state)], and only in [Opposite safety], a difference in semantic structure happens with Sending letter. In [Opposite Safety], [Reception] is divided as [Letter] which is Ganchal that is directly received and [Message], which is news that is received indirectly from people. [Safety] is as [Family Safety] and [Individual Safety], [Mental state] also as [Family Safety Mental state] and [Individual Safety Mental state].

한국어

筆者는 여러 해째 簡札을 대상으로 一連의 國語學的硏究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硏究는 그 一環으로서 [安否人事]의 類型化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近代國語時期(16世紀-19世紀)의 漢文簡札과 한글簡札을 대상으 로 [安否人事]를 形式的類型과 意味的類型으로 나누어 分析하였다. [安否人事]의 形式的類型은 定置與否, 省略與否, 寄狀與否, 尊卑與否 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定置與否를 제1기준으로, 省略與否를 제2기준 으로 삼아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安否人事]의 典型性이 가장 잘 드러난 定置型이면서 完成型을 第1類型으로 삼았다. 定置型이면서 自己 安否省略型을 第2類型으로, 定置型이면서 相對安否省略型을 第3類型으 로, 定置型이면서 安否人事省略型을 第4類型으로 삼았다. [安否人事]에 서 破格이 가장 심한 倒置型을 第5類型으로 삼았다. 第1類型은 [相對安否]가 [自己安否]에 先行하는 定置型이면서 意味 要素가 온전한 完成型을 가리킨다. 이 유형은 [安否人事]의 모든 構成 要素를 갖췄다는 점에서 가장 典型的이며 規範的이라 할 수 있다. 第2類 型은 [安否人事]가 [相對安否]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定型性에서는 第1 類型보다 덜하지만 出現頻度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유형이다. [相對安 否]를 충실히 묻되, [自己安否]는 생략하는 것이 예의에 크게 어긋나지 않으면서 간찰을 쉽게 쓸 수 있기 때문에 활용된다. 第3類型은 [相對安 否+自己安否]의 구성을 보이는 定置型이지만 [相對安否]가 생략된 유 형을 가리킨다. 第4類型은 [相對安否+自己安否]의 구성을 보이는 定置 型이지만 [安否人事] 전체가 생략된 유형이다. 이 유형은 [安否人事] 자체를 완전히 생략한 경우와 ‘除煩’과 같은 상투적인 표현이 [安否人 事]를 대신하는 경우로 나뉜다. 第5類型은 定置型과 달리 [自己安否+相 對安否]의 구성을 보이는 倒置型이다. 이 유형은 定型性에서 破格이 가 장 심한 유형으로 實例도 아주 드물다. [自己安否]를 앞세우고 나중에 체면치레로 [相對安否]를 묻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이 외 에 [安否人事] 유형을 [相對安否]와 [自己安否]가 직접 연결된 直接型 과 [事緣]으로 분리된 間接型으로 大別하여 세분할 수도 있다. [安否人事]의 意味的類型은 寄狀與否, 緩急與否, 親密與否, 隔阻與否 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寄狀의 경우 [安否人事]는 [相對安否(時候+ 問安+心境)+自己安否(狀況+安否+心境)]의 구성을 보인다. [相對安否] 에서 [時候]는 [季節] 정보와 [氣象(날씨)] 정보로 細分할 수 있고, [心 境] 또한 受信者의 [家族安否心境]과 [個人安否心境]으로 나뉜다. [自己安否]에서 [狀況]은 受信者의 종래 상황인 [近況]과 受信者의 현 재 상황인 [現況]으로 나뉘며 [問安] 또한 受信者의 [家族問安]와 [個 人問安]으로, [安否]는 [家族安否]와 [個人安否]로 細分할 수 있다. 이 처럼 [問安]이나 [安否]가 [家族]과 [個人] 차원에서 짝을 이루어 쓰일 때가 많은데 父母나 祖父母를 모시고 사는 層層侍下의 大家族制度에서 비롯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答狀의 경우 [安否人事]는 [相對安否(受信+安否+心境)+自己安否(狀 況+安否+心境)]의 구성을 보며 [相對安否]에서만 의미구성이 寄狀과 차이가 있다. [相對安否]에서 [受信]은 직접 간찰을 받는 [書信]과 사 람들 통해 소식을 전해 듣는 [傳言]으로 나뉘며 [安否]는 [家族安否] 와 [個人安否]로, [心境] 역시 [家族安否心境]과 [個人安否心境]으 로 나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序言
 Ⅱ. 簡札의 書式
 Ⅲ. 類型의 種類
 Ⅳ. 類型 分析의 實際
 Ⅴ. 結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병용 Jeon, Byeong-yong. 단국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