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翰林別曲>의 創作 背景과 朝鮮時代 <翰林別曲>의 流行

원문정보

Epidemic form of creative background and Joseon Dynasty of Hanlim another song

<한림별곡>의 창작 배경과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권혁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in the focus of the fact that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was clearly private background and fashionable aspects of its creation. In Section 2, as the background of the epidemic of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derived creative situation of . is the "left Order live music" relationship center rather, was that it was created by the Academy belongs is highlighted "Hanlin year". As a result, collap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 raw Korea early left, in conjunction with the boast to debauchery and evaluated surface Shinyoung of successor Geibun of this academy, be epidemic in the Joseon Dynasty it is the could be. In Chapter 3, and two to the original, it was examined the epidemic surface of of the Joseon Dynasty. The epidemic of surface, in the conventional research and are relatively detailed, but in this paper, while accommodat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consideration "Hanlim feast" has led to Geibun of Korea "immune new Feast" was observed a trend surface is placed around the fact. As a result, , the Joseon is that it has been singing on the occasion official four-kan and Geibun center, first Nara are exempt new feast bonds back to the four Hall again in Geibun, usually it can be seen that it is spread in the Scholar-official and gisaeng's. Lower limit has been singing can be up to around the late 17th century it has been speculated through the time of Gimumanjun.

한국어

본고는 <翰林別曲>이 조선시대에 유행한 사실을 초점으로 하여 조 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배경으로서 고려시대 <한림별곡>의 창작 상황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유행한 <한림별곡>의 구체적 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배경으로서 <한림별곡>의 창작 상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림별곡>은 관계중심의 ‘좌주문생 연’이 아니라 소속 집단이 강조된 ‘한림연’에서 창작되었다고 할 수 있 었다. 그런 까닭에, 조선 초기 좌주문생관계가 무너지고 ‘矜豪放蕩’하다 는 평가를 받은 <한림별곡>이 ‘한림연’을 계승한 예문관의 ‘면신연’을 통해서 조선후기까지 유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을 토대로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양상을 살펴 보았다. 본고는 기존 연구 성과를 수용하되, 2장과의 유기적인 맥락 하 에서 살펴보았다. 즉,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은 두 가지 양상을 띠는데, 하나는 군주나 국가적 문제와 관련하여 藝文館, 四館의 공식적 자리에서 유행하였고, 다른 하나는 <한림별곡>이 예문관의 면신연과 결합하자 전자보다 사적인 성격을 띤 공간에서 가창되었다는 것이다. 예문관의 면신연과 결합한 <한림별곡>은 조선 전기 허참례 면신례의 성행과 비례하여 유행하였고, 면신연을 금지하는 구체적인 절목이 만들 어진 중종 36년부터는 점점 위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한림별곡> 은 藝文館이나 四館에서의 가창은 약화되고 일반 사대부나 지방 관리 의 酒筵공간, 妓房등을 중심으로 유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 <한림별곡>의 유행은 김만중의 시를 통해서 볼 때 17세기 후반까지 확인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翰林別曲>의 創作 背景으로서 高麗의 ‘翰林宴’
 Ⅲ. 朝鮮時代 藝文館 ‘免新宴’과  <翰林別曲>의 流行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혁명 Kwon Hyok Myong. 한성대학교 언어교육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