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策文의 정치적 활용성에 관한 시론 — 정조시대 이가환의「蕭何大起未央宮論」 분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Experimental Discussion of Using Chaekmun in the Field of Politics

책문의 정치적 활용성에 관한 시론 — 정조시대 이가환의「소하대기미앙궁론」 분석을 중심으로 —

백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n essay on Chaekmun(Answer papers of official examination in Pre-modern period). Especially I tried to point 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in the field of politic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an examination paper written by Lee Ga-hwan, and the title is “a debate about construction of the Miang palace”. Exquisite writing skill is also important in Chaekmun, but it is not everything. The subject of Chaekmun concerns various fields such like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history. So that writers should have sufficient knowledge and opinion. The King, as an examiner, wants to test retainers’ ability both in writing and politics. In this paper, I focused on using in field of politics between the King and the retainers. And as an good example, I analyzed a paper which dealt the event of building huge palace named Miang palace. That is because the King reflects his concerns by setting exam questions. And his concerns also could not be free of contemporary political conditions. Therefore we should be careful of reading those articles. Regarding this, Lee Ga-hwan’s article had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Unlike any other articles dealing with same event, he tried to access through creative point of view. And his thought were much close to the King’s heart.

한국어

본 논문은 策文의 정치적 활용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는 일종의 試論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는 李家煥(1742-1801)이 정조에게 제출한 답안 인 「蕭何大起未央宮論」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진행하고자 한다. 책문은 오직 글을 짓는 솜씨만으로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는 없다. 책문 의 주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 대한 식견이 없다면 결코 좋은 성적을 거둘 수가 없었다. 따라 서 책문을 출제하는 데에는 군왕이 신하들의 글 솜씨와 함께 여러 분야에 대한 식견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이 함께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책문의 정치적 활용성에 중심을 두고 정조가 “소하가 미앙궁을 크게 지은 일”을 책제로 출제한 배경과 이에 대한 이가 환의 답안 「소하대기미앙궁론」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 하고자 한다. 이는 군왕이 직접 출제하는 策問에 군왕의 관심사가 자연스럽 게 반영되기 마련이며, 군왕의 관심사 역시 당대의 정세로부터 자유로울 수 는 없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책제에 대한 답변 역시 논리와 수사 등 문장 내적인 성취와 함께, 군왕의 출제 의도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가 더욱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이가환의 「소하대기미앙궁론」은 다른 시기의 작품 들과는 차별되는 관점이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시기에도 소하의 미 앙궁 건설에 대해서는 여러 방향에서의 가치 판단이 있어왔는데, 이가환은 기존의 논의와 상당히 다른 층위에서 접근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배경에는 정조의 출제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낸 이가환의 안목이 자리를 잡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정조의 출제 의도와 이가환의 응대 양상
  1. 소하의 미앙궁 건설과 정조의 출제 배경
  2. 이가환의 「蕭何大起未央宮論」 분석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진우 Baek Jin-woo.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