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유학자들에 비친 여헌의 인물됨과 학문

원문정보

Yeoheon's Personality and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장숙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eoheon is a representative recluse and philosopher in the 17th Joseon dynasty. His contemporary intellectuals considered him as a sincere nobleman, Confucius in the Joseon, and moreover a saint, a cornerstone of culture, and a model for Confucianists. As a politician, he was regarded as practicing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education, which are the key ideas of Confucian politics, when he serviced as a local governmental office twice. In addition, his ruler thought that he was right, wise, and modest, and therefore had the dignity of the old sage. His subordinates considered that he possessed the way of the old great ministers and the eye to se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His theory of the Yijing is based on Cheng-Zhou learning, but develop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addition, he discussed that Confucianism is a practical learning. His theory of the ritual was considered to follow Zhu Xi's works, but refer the old rituals and overcome the aspect of minor customs. His contemporary scholars thought that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revealed the essence of Li-Four and Qi-Seven theory regardless of scholarly parties, which were formed after Toegye and Yulgok. However, he proposed the Li-longitude and Qi-latitude theory in order to restore the real values, but it is similar to Yulgok's theory, which was criticized by the schools of Toegye and South Faction near Seoul. However, his theories revealed the fact that Joseon Confucianism cannot be simply differentiated as two major theories of "Centering on Li" and "Centering on Qi. In addition, his ideas of the universe and concern for the old showed that Joseon Confucianism is not just a theory, but is related to our lives and therefore practical in its nature.

한국어

旅軒張顯光(1554-1637)은 17세기 전반기 영남유학을 대표하는 산림처 사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당대 지식인들로부터 진정으로 군자다운 사람, 我東의 孔子, 심지어 神人, 聖人으로까지 칭송되었으며, 斯文의 柱石, 사 림의 儀範으로 인정받았다. 경세가로서의 그의 모습은 두 차례의 지방관에서는 유가적인 도덕정 치, 즉 민생안정과 교화의 정치를 실현한 인물로 평가되었고, 산림으로 초빙되었을 때는 왕으로부터 바르고 어질고 겸손하고 검소하여 옛사람 의 風度가 있다고 평가받았으며, 학자들로부터는 당대 정치의향배를 결 정하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었다. 그의 학문은, 易學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정주학에 근본하면서도 정주 의 해석을 넘어서는 업적을 세웠으며, 우주사업은 실천학으로서의 유학 의 성격을 밝혔고, 예설은 晦庵의 遺書를 따르되 古禮를 서로 참조하여 末俗의 오류를 씻어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성리설의 경우, 퇴율이후의 당파성을 넘어서서 理氣四七說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실천지학으로서의 유학 본연의 가치를 회복하기 위 해 제시된 理氣經緯說은 그것이 퇴계의 호발설과 합치되지 않는다는 점 에서 영남의 퇴계학파 및 근기남인에 의해 비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여헌의 학문은 조선유학이 主理,主氣로 대분되는 단편적 인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갖춘 것임을 확인시켜 주며, 또한 그의 우주사업과 노인사업은 조선유학의 도덕론이 단순히 공리공론이 아닌 실천적인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언
 Ⅱ. 여헌의 인물
 Ⅲ. 여헌의 학문
 Ⅳ. 여헌의 실천과 그 영향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숙필 Jang, sookpil. 전주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