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와 불교정화 운동의 전개

원문정보

President Seung‐man Lee’s Instru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이재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esident Seung‐man Lee’s seven instructions were a major driving force that pushe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e key point of the instructions was that married monks were all pro‐Japanese and therefore they should give up their ownership over the temples and leave the temples. Moreover, the instructions insisted that unmarried monks were patriotic and therefore they were called to protect temple properties, which were Korean cultural heritages, and repair and renovate them. As implied clearly by the word ‘instruction (諭示),’ the presidential instructions maintained the editorial tone that sounded like an order issued by an authoritarian president. They demanded unmarried monks to rise up and take aggressive actions, and pressed married monks threateningly to surrender unconditionally. The present’s forced thrust of temple purification was based on the jurisprudential belief that the government was authorized to manage and control Buddhism as an extension of the Temple Ordinance, which had controlled the Buddhist circle and temples administratively since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president’s critical remarks against married monks grew harsher with the repetition of the instructions, and especially when unmarried monks confronted married ones through bloody violence over the seizure of the Jogye‐sa Temple, the president exposed his intention to exclude married monks completely and support the unmarried ones based on the logic that married monks were pro‐Communist and pro‐Japanese. In Seung‐man Lee’s seven instructions and throughout the resultant movement of Buddhist purification in those days, there are notable points as follows. First, the Buddhist circle fully accepted and respected the president’s abusive behaviors. Second, the cause ‘restor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spread widely throughout the Buddhist circle. Third, public opinions were generally on the side of unmarried monk, and so was the editorial tone of the press. Fourth, the Buddhist circle failed to resolve its problems by the logic of Buddhism, and relied on the regime’s patronage, governmental authority, and the Judiciary, and continued extreme confrontations, exclusions, and violence instead of showing Buddha’s Great Love and Mercy. Fifth, reflection is required on the criticism that the purification movement was a struggle for religious power by nature.

한국어

이승만 대통령의 7차에 걸친 유시는 불교정화 운동을 시종일관 이끌어갔 던 주요 동력이었다. 핵심적 내용은 대처승은 곧 친일승려이니 사찰의 소유 권을 다 내려놓고 절 밖으로 나가라는 것이다. 그리고 비구승은 곧 애국승려 이니 대처승들을 몰아내고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인 사찰재산을 지키며 수리 개량하라는 것이다. ‘유시(諭示)’라는 단어 속에 잘 나타나 있듯이 권위주의 적 대통령으로서 명령을 내리는 듯한 논조로 일관하고 있는데, 비구승들에게 는 총궐기하여 적극적 행동에 나설 것을 주문하였으며 대처승들에게는 무조 건 항복하라는 위협적 통첩을 내렸다. 대통령이 이렇듯 사찰정화를 강제적으 로 밀어붙인 것은 일제강점기 이후 불교계와 사찰을 행정적으로 통제해 왔 던 사찰령의 연장선에서 불교를 관리, 통제할 수 있다는 법리적 검토에 기반 하고 있다. 대통령의 대처승에 대한 비판적 발언의 수위는 담화가 횟수를 더 하면서 점점 더 높아져 갔는데, 특히 비구-대처가 조계사 탈취 등의 문제로 유혈적 폭력으로 맞설 때에는 친공․친일이라는 논리를 내세워서 철저하게 대처를 배제하고 비구승들에게 힘을 실어주려고 하는 의도를 표출하였다. 이러한 이승만대통령의 유시가 불교정화운동의 발발과 전개에 미친 영향 력과 남겨진 유산을 비판적으로 평가해 볼 때 우리는 몇 가지 사실을 지적 할 수 있다. 첫째, 대통령의 월권적 행동에 대해 불교계는 전폭적으로 받아들이고 존중 하는 태도를 보였다. 둘째, 전통불교의 회복이라는 대의명분이 불교계에 널리 확산되어 있었다. 셋째, 당시 여론은 대체적으로 비구승 쪽에 있었다. 넷째, 불교의 문제를 불교 자체의 논리로 풀지 못하고 정권의 비호 및 공 권력, 사법부에 의지하려고 했으며, 극단적인 투쟁과 배척, 그리고 폭력으로 일관했다. 다섯째, 종권다툼의 성격이 크다는 지적에 대한 자성(自省)이 필요하다.

목차

한글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제1차 유시(1954. 5. 20)
 Ⅲ. 제2차 유시(1954. 11. 4)
 Ⅳ. 제3차 유시(1954. 11. 19)
 Ⅴ. 제4차 유시(1954. 12. 16)
 Ⅵ. 제5차 유시(1955. 6. 16)
 Ⅶ. 제6차 유시(1955. 8. 4)
 Ⅷ. 제7차 유시(1955. 12. 8)
 Ⅸ. 자성과 평가
 Ⅹ. 끝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헌 Lee, Jae-hun.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철학박사), 금강삼종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