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생의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이 학업성취도 및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Learning Type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허은정, 이재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Self-directed learning time,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and private lesson time, and EBS lecture time were set as major variables, and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time was compared. As a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time and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private lesson time and EBS lecture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self-directed learning time effectively mediated the effect of school class concentration time, private lesson participation hour, and EBS lecture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have any mediated effect on academic self-concept. In order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time allocation to regular school class and students’ self-speed learning rather than private lessons. Secondly, the school culture must be fundamentally changed to increase emotional self-esteem of students on their own academic ability in the process of class operation and encourag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ly, self-directed learning is a basic ability that is a prerequisite for various types of learning where students routinely participate. Accordingly,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or private lessons must be carried out by the design and progress of students themselv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 즉 자기주도학습 시간, 수업집중 시간, 사교육 시간, EBS 수강 시간이 학업성취도와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 중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주도학습 시간과 수업 집중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사교육 시간과 EBS 수강 시간은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한편 학업자아개념에는 학교수업 집중 시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수업집중 시간과 사교육 시간, 그리고 EBS 수강 시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매개하였다. 반면 학업자아개념에 대해서 자기주도학습 시간은 아무런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몇 가지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자기 속도에 맞춘 학습에 시간을 할애하고 정규 수업에 집중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수업 운영 및 학습을 장려하는 과정에서 학생이 본인의 학업 능력에 대한 정서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 안팎의 문화가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학습에 전제되어야 할 기본적 능력이다. 따라서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이나 사교육 참여, 또는 EBS 수강 시 학생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진행해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생의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 자기주도학습, 학교수업, 사교육, EBS 수강
  2.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의 효과에 대한 연구 동향
  3. 학습유형별 참여 시간의 효과 변인: 학업성취도와 학업자아개념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및 분석 자료
  2. 연구 변수의 구성
  3. 연구 모형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기초 통계량 및 상관관계
  2.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3. 표준화 경로계수 및 경로 모형
  4.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5.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학업자아개념 수준에 미치는 매개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은정 Eun Jung Hur.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 이재덕 Jae-Duck Lee.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