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기 시의 역사 기억과 문학사 교육의 문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ble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Remembrance of the Korean Poetry in the Liberation Era

박윤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he liberation era must be treatedjust more than the special space that contained various unlimited possibilitiesof raaptuerd period. It was rather the time that revealed the concreate poeticcognitions required in pursuiting the value of the epoch and presenting thehistorical consciousness needed to gain. The poems of Rim Hwa and Kim Gi-rim gave priority to ideologicalpreoccupation of optimistical vision of national future with the form of hymnsor praise. And the poems of Oh Jang-hwan and Lee Yong-ak represented theprocess of inquiry what had effected on the nation's historical present withself-critical confession. These could have the meaning of poetic history in whichthey constructed reality of examining the liberation era with cool-headnessreflecting nation's historical past and re-prescribed the present meaning in theeyes of the poetic subjects. With these results of analysis, the education of poetic literary history in theliberation era can be examined when we stand the point of getting out of thedual conflict in interpretative receiv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ofliterary history. In other words, if we gain the position of textualunderstandings through the insight of subject of historical life, we can read thepoems in the realm of history without mechan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criticism.

한국어

한국현대시사에서 해방기는 단순히 무한한 가능성의 다양한 시험대로서 족한 닫힌 공간의대상으로만 취급해 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그 ‘해방 공간’은 그 어떤 문학 장르, 어떤 사회부면보다도 선도적으로 시대적 가치 를 추구하고 현실성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역사의식을 현재화하려는 시적 인식이 구체화된 시기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에 김기림이나 임화가 역사적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에 대한 당위적 선취와 같은 이념지향적 태 도만을 앞세운 데비해, 오장환과 이용악의 작품들은 민족사의 과거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천착 과정을 문학화함으로써 탈식민적 관점에서 자기비판의 시대적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특히 이들 시인의 작품은 자기비판의 주관적이고 고백적인 시선을 통한 진술과 현실재현의 객관적이고 관찰적 인 시선에 의한 묘사의 대조적인 표현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그 시적 주체들의 회상 기억을 통해 일제치하의 민족집단의 역사적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의 의미를 재규정함으로써 해방이라는 역사 공간의 냉철하게 탐색하 는 현실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시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민족문학의 역사에 대한 이해라는 문학사 교육의 초점에 입각해볼 때 해방기 시사 교육의과제는 무엇보다 시 텍스트의 해석적 수용과 당대의 역사적 사실 자체에 대한 이해라는 두 가지 당위성의 부정교합으로부터 벗어 나고자 하는 시각을 확보할 때 비로소 탐색 가능할 것으로 본다. 임화나 김기림, 오장환과 이용악의 시 텍스트 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모습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전환적 시각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이러한 역사적삶의 주체에 대한 시각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텍스트 이해의 시각을 확보할 때 비로소 역 사주의적 비평관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가 다시금 역사의 직접적 연관을 통한 문학적 맥락의기계적 이해라는 모순적 역설을 초래하는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해방기 시사를 바라보는 관점으로서 ‘자기비판’
 3. 해방기 시 텍스트의 정전화와 문학사 교육
 4. 해방기 시에 나타난 역사 기억과 시사 이해의 지평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우 Park, Yoon-Woo. 서경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콘텐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