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원문정보

Problems in the Medical Dispute Medication System and Improvement Plan

최장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number of medical disputes is continuously rising. Due to the intrinsic qualities of medical treatments, one would find it more apt to subject medical disputes to general conflict resolution procedures rather than to once-for-all decisions under legal suits. To address the increasing medical disputes with greater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edical Disputes Mediation Act was enacted and a medical dispute mediation system put in place, while drawbacks have been blamed to both. The current mediation procedures require the respondent’s agreement as a disclosure requirement. A reasonable improvement to this would be to amend the regulation of agreement supposition, or to enforce procedural participation only to public health facilities managed by the national or regional government. Furthermore, small claims cases of 20 million KRW or less in claim may be considered for conciliation-prepositive principle. The concentration on small claim medical disputes is a phenomenon that can be addressed by carrying out maximum authentication commissions or similar measures, one of the solutions by enhancing the public trust in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The proper management of medical authentication teams is one way to address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authentication system. For this, the number of team members shall be increased under more flexible authentication procedures. All indemnity resources for medical accidents of force majeure must be borne by the Government, for it is the body principally responsible for social compensation. Placing this cost on the establisher of the subject medical facility holds the possibility of violating fundamental rights. While the costs for subrogation payment system for damages may be borne by the healthcare facility establisher, a deposit-based system must be created for cases in which the facility shuts down, without holding the responsibility for accident cause. Such change to a deposit-based system will evade the controversies of unconstitutionality, etc.

한국어

여러 가지 이유로 의료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의료행위의 특성으로 인하여 의료분쟁은 일도양단적 으로 결론을 내리는 소송보다 대체적 분쟁해결 절차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증가하는 의료분 쟁을 전문적,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의료분쟁조정법이 제정되고 의료분쟁 조정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조정절차 개시요건으로 규정된 피신청인의 동의 절차는 의료분쟁조정법에 대한 의료계의 반발이 심한 현재 의 상황에서는, 동의 간주 규정으로 개정하거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보건의료기관에 대하 여서만 절차 참여를 강제하는 것으로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청구금액 2,000만원 이하의 소액사건은 조정전치주의를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신청 사건의 소액사건 편중 현상은 감정촉탁 등을 최 대한 많이 시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정중재원의 신뢰를 높임으로써 해결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의료사고 감정단이 적절히 운영되면 기존 감정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정단 의 정원을 늘리고 감정부의 감정절차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불가항력 의료 사고 보상재원은 사회보상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 국가가 전액 부담해야 한다.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재 원을 의료기관개설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은 기본권 침해 가능성이 있다. 손해배상금 대불 재원은 보건의료 기관개설자가 부담하더라도, 사고를 야기하지 않고 폐업하는 경우 등에 이를 반환받을 수 있는 예치금으로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예치금으로 개정하면 위헌성 등의 논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의료행위의 특수성 및 의료분쟁의 증가
  1. 의료행위의 특수성
  2. 의료분쟁의 증가 및 원인
 III.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의료분쟁조정법에 의한 조정절차 개관
  2. 의료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관련 쟁점
  3. 의료사고감정단의 감정 관련 쟁점
  4.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 관련 쟁점
  5. 손해배상금 대불제도 관련 쟁점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장섭 Choi, Jang Seop. 한림대학교 의료원, 변호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