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른 콜라주작품 표현양식 분석

원문정보

A Analysis of Expression form of Collage Based on Levels of School Life Adjustment

이근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collage, dividing sample by levels of school life adjustment from 323 current students of A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between high-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This study is validated by exploring 23 factors via form and content analysis and suggests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of all,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tudents through collage by revealing problems of secession of paper and integration in high risk group that were recognized by conducting form analysis of collage. Secondly, most of the sample in this research prefers mixed contents. In addition, it present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tudents through collage by comprehending that high risk group shows abstract expression instead of specific expression than low risk group. The difference of form and content of collage work based on school life adjustment predicts applicability of collage test as supplementary tool to make early diagnosis of school maladjustment. Moreover, collage test is expected to utilize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to help school life adjustment of maladaptive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경기도의 A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323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누어 콜라주의 표현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형식분석과 내용분석의 23개 항목을 체크하여 학교생활 적응정도에 따른 표현특성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콜라주 작품의 형식분석에서 학교생활적응의 고위험군 학생이 종이이탈과 통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작품을 통한 학교생활적응 수준 파악이 가능함을 시사해 준다. 둘째, 본 연구대상의 대부분은 혼합된 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위험군이 저위험군보다 구체적인 표현 대신 추상적인 표현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콜라주 작품을 통한 학교생활수준 파악이 가능함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콜라주작품의 형식과 내용에서 학교생활적응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은 콜라주심리검사가 대학생의 학교생활부적응학생을 조기선별 할 수 있는 보조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예측해 준다. 나아가서 학교생활부적응 대학생을 학교생활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및 일치도 검증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형식 분석에 따른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간 표현특성
  2. 내용분석에 따른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간 표현특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근매 Lee, Keun Mae. 평택대학교 재활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