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epoch background, and each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類書) on ‘name of a things(物名)’.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with a name of a thing are usually transferred with manuscripts, and distributed from mid 18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title is written in Chinese and the annotation is written in both Chinese and Korean.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started which effected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natural objects(名物考證學)' that is started from China partially structured the massiv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Encyclopédie which was popular around the globe. Late 19th century, the name of things with Korean annotation become a boom, those with practicality changed into modern dictionary vocabulary types.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on name of things in The Korean history has an important value in vocabulary and character history-wises, plus, in cultural history-wise.
한국어
본고에서는 ‘물명(物名)’에 대한 유서(類書)들의 기초적인 서지사항과 시대적 배경, 그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물명류 유서들은 주로 필사본으로 전하며, 18세기 중반부터 20세기초까지 분포한다. 표제어는 한자어로 되어 있으며, 주석은 한글과 한문으로 되어있다. 중국으로부터 시작된 ‘명물고증학(名物考證學)’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유서(類書)의 편찬은 세계적으로 유행한 『백과전서』류의 편찬과 더불어 대규모 유서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이후 한글로 주석을 한 유서들이 전성기를 이루면서 실용성을 갖춘 유서들이 근대적 어휘사전의 형태로 변화한다. 국어사에서 물명류 유서는 어휘사적, 문자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목차
1. 서언
2. ‘물명’에 대한 현전 유서의 종류와 현황
3. 물명 관련 유서의 특징과 시대적 변화
3.1. 물명 관련 유서의 공통 특징
3.2. 물명 관련 유서의 시대적 변화
3.4. 물명류의 어휘 분류 방식
4. 국어사에서 물명류가 차지하는 위치
5. 남은 문제 및 앞으로의 연구 과제
5.1. 동시대 세계와의 문화사적 흐름과 연계한 연구
5.2. 외국어로 표기된 조선어 물명에 대한 연구
5.3. 물명 자료의 DB화와 학제간 연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