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goal of psychological serious game, which is called “SAVE ME, LOVE ME” made on the purpose of sound identity for teenagers is to reach inner awareness through the process of dilemma problem solving by the support of unconditional love. This action game is about how to deal with routine dilemma through the first person narration that teenagers are faced to. Its features are on the metaphorical use of ‘A Prodigal Son’ in the Bible, one of religious wisdom narratives to heal the psychological stresses which teenagers suffer from. This game is aimed at helping teenagers to build a positive and solid sense of self by fighting against growing threatens to teenager’s solid sense of self, by defeating monsters, and by listening to the various stories which game characters tell.
한국어
청소년들의 건강한 자아정체성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가제) SAVE ME, LOVE ME” 라는 심리 기능성게임 시나리오의 주제는 조건 없는 사랑(무조건적인 사랑)을 자원으로 딜레마들을 해결하는 과정에 의한 내부적 승인 획득이다. 1인칭 시점 액션게임으로 청소년의 일상적인 삶의 딜레마를 다루는 이 게임의 특징은 청소년들이 받는 여러 심리적 스트레스를 치료하기 위해 종교 지혜 내러티브 중 기독교 예수의 ‘돌아온 탕자’ 비유의 모티브를 사용한 것이다. 게임의 기획 의도는 다양한 스테이지 별로 청소년들의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해치는 위협요인들의 상징을 배치, 여러 캐릭터가 제공하는 이야기들이나 몬스터를 파괴하는 등의 액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을 돕는 것이다. 게임의 장르는 모바일 게임을, 게임 형식으로는 다양한 형식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액션 게임을 채택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청소년 문제와 심리 기능성게임
2.1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심리 기능성게임
3. 청소년 문제와 종교 지혜 내러티브
3.1 참여 관찰법을 통해 분석한 청소년과 종교
4. 기대효과 및 결론
4.1 기대효과
4.2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