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원문정보

The Study on Domestic Flight Attendants is View of Security Awareness and Crisis Management Capacity of In-Flight Security Officers

정상헌, 조성구, 김동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cases of domestic aviation security failures in Korea are Changlangho hijacking(1958), KAL YS-11 kidnapping(1969), kidnapping of KAL F-27(1971), the attempted B727(1985), the midair explosion of KAL KE858(1987), the attempted kidnapping of KAL B747(1988), the attempted hijacking of KAL 388(1993), et cetera. So, after the aircraft hijacking to North Korea in 1969, our Korean government allowed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o carry the mobile weapon, along with a plain-clothes policeman. Since 1970, it has made the private police(rent-a-cop) carry out security duty as the aviation security personnel. The system of in-flight security officers on board within the aircraft has been introduced since 2008. However, one of flight attendants is designated as in-flight security personnel. And then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re are any effective role and efficiency within the aircraf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current domestic commercial flight attendants are conscious of the aviation security. The result of it shows that ‘very safe’ is 4.7%, ‘safe’ is 23.6%, ‘so-so’ is 56.7%, ‘unsafe’ is 25.6%, and ‘very unsafe’ is 2.7%. ‘So-so’ opinion has taken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research on crisis management capacity of the in-flight crews shows that ‘very high’ is 13.5%, ‘high’ is 29%, ‘so-so’ is 43%, ‘lacking’ is 19.5%, and ‘very lacking’ is 2.7%. ‘So-so’ opinion has taken the highest percentage, too. Taking together these research results, we know that indifference and insensitivity toward aviation security is very high. If there is the accident related to the aviation security, it is connected with great tragedy. Current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air transportation and the provocation of North Korea, we should rethink the confrontation system of the aviation security.

한국어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보안 실패 사례는 창랑호 납치사건(1958), KAL YS-11 납치사 건 (1969), KAL F-27 납치미수사건 (1971), KAL B727 납치미수사건(1985), KAL KE858기 공중 폭파 사건(1987), KAL B747 납치미수 사건(1988), KAL 388 납치미수 사건(1993)등이 있다. 이에 우리정부는 1969년 항공기 납북사건 이후 사복경찰관과 함께 항공보안요원에게 무기 휴대를 허용 하게 하였으며, 1970년부터는 항공보안요원을 청원경찰로 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후 2008년부터 항공기내에 보안요원이 탑승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이것은 객실승무원중 보안승무원을 지정하는 개념으로 현재 항공기내에서 얼마나 실효적인 역할과 효과가 있는지는 의 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항공기내 승무원 148명을 대상으로 보안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매우 안전하다(4.7%), 안전하다(23.6%), 그저 그렇다(56.7%), 불안 전하다(25.6%), 매우불안전하다(2.7%)로 나타났고 ‘그저 그렇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였다. 또한 항공기내 승무원의 위기 대응능력에 대한 연구결과 매우높다(13.5%), 높다(29%), 그 저 그렇다(43%), 부족하다(19.5%%), 매우부족하다(2.7%)로 나타났으며, ‘그저 그렇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공기내의 보안에 대한 무관심과 안전 불감증이 매우 높은 상 황임을 알 수 있다. 항공보안의 경우 한 번의 사고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특징과 현재 급증하 고 있는 항공교통수단의 확대 그리고 북한의 도발 등을 고려하여 항공 보안의 대응체제를 제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항공보안의 의의
  2. 항공보안의 체계
  3. 항공테러의 사례
  4. 항공범죄의 유형
  5. 항공범죄의 역사
  6. 항공보안요원
  7. 위기기상황의 정의
  8.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연구질문
  2. 조사대상
  3. 자료 분석
 Ⅳ. 분석결과
  1. 항공승무원의 보안 인식
  2. 항공승무원의 위기 대처능력 조사
 Ⅴ.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상헌 Jung, Sang-hun. L&J Security 과장
  • 조성구 Jo, Sung-Gu. 경운대학교 경호학부 교수
  • 김동제 Kim, Dong-Je. 경운대학교 경호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