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입법사례연구]

근로기준법 제10조에 관한 노동법 및 공법의 규율과 입법적 시사점

원문정보

Regulations and Legislative Suggestions of the Labor Laws and Public Law related to Article 10 of the Labor Standards Act

조정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icle 10 of the Labor Standards Act guarantees the exercise of civil rights, and its related provisions are scattered in the Act on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Act on the Establishment of Homeland Reserve Forces, Framework Act on Civil Defense and so on.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employers shall grant time necessary to exercise civil rights, and a person who has violated it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wo years or penalized with fine of not exceeding ten million won. However, the Act on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provides that necessary time to exercise the right of franchise shall be guaranteed, and the time shall not be regarded as a day-off. It also prescribes that a person who has violated it shall be penalized with a fine of not exceeding ten million won. A harsh punishment is laid down in the Labor Standards Act, whereas others do not prescribe any penalties or provide only weaker penalties than those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addition, there is no exceptional provision that similar activities, such as court appearance as a witness of the legal procedure law or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of the Military Service Act, shall not be regarded as a day-off. Thus, the legislative equilibrium is discussed. The labor laws provide severe punishment in order to protect workers, but related administrative law does not take that into consideration. This issue is caused by incomprehension between the labor laws and the administrative law or public law, and it is alluded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crutiny concerning related regulations when respective acts are enacted or amended. These days the labor laws have signific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related regulations so that these kinds of incomplete legislation will not recur.

한국어

근로기준법은 제10조에서는 공민권 행사의 보장 등을 규정하였는데 이와 관련 된 규정들이 공직선거법과 향토예비군설치법 민방위기본법 등에 산재되어 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공민권 행사 시간을 부여하도록 하고 이에 위반한 경우 2년이하의 징역 등 강력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는데 공직선거법 등에 서는 시간 부여에서 더 나아가 이를 휴무로 보지 않는다고 하여 유급으로 하라는 취지로 규정하면서도 벌칙은 아예 규정하지 않거나 근로기준법보다 약화된 벌칙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소송법상의 증인으로서의 활동이라든지 병역법상의 징병검사 등 유사한 항목 에 대하여는 휴무로 보지 않는다는 특칙을 두고 있지 않아 입법상의 균형이 문제된다. 이는 노동법이 근로자 보호를 위하여 과도한 형량을 규정하였지만 관련 행정법 에서는 그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는 등 노동법과 행정법 내지 공법 사이에 이해가 부족한 탓이며 각각의 법률을 입법할 때 관련 법률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없었음 을 시사한다. 오늘날 노동법이 갖는 중요성에 비추어 이러한 입법적 미비점이 재발되지 않도 록 하고 관련법률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근로기준법상의 공적 권리 보장
 Ⅲ. 개별법 상의 관련 규정과 운영실태
 Ⅳ. 입법론적 시사점
 Ⅴ. 결어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정찬 Cho JeongChan. 법령정보관리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