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수관계자 거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채권과 채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on Corporate Value : Focusing on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김은, 홍선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value relevance of related party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held by corporations were verified by examining the corporations that became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securities markets over five years from 2007 to 2011. Furthermore,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how the corporate values are affected by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and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between non-related parti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firstl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value relevance of related party receivables / debt obligations showed that corporate-held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of related parties, similar to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held by corporations, generally were seen to be associated with the outflow/inflow of future economic benefits. However, the receivables incurred from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were seen to have lower value relevance for corporate value as compared to the net assets, which exclude receivables between related parties. And this relatively lower value relevance is deemed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are transactions based on special mutual relationships. Next,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receivables / debt obligations of related parties and non- related parties, it was seen that, in the case of related party receivables, when there is a risk of a financial crisis or bankruptcy in corporations holding debt obligations such risk of corporations holding debt obligations is not passed onto corporations that are holding receivables, therefore, there are positive (+) effects on the corporate value. However, because non-related party receivable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isk of corporations holding debt obligations, it is seen that the corporate value is subjected to larger negative effects. In addition, due to the fact that debt obligations of related parties provide favorable benefits such as interest rates as compared to general debt obligations and this is applied unfavorably for corporations holding debt obligations, the corporate value is seen to be subjected to a larger negative impa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empi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garding the value relevance of receivables and debt obligations held by corporations resulting from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receivables / debt obligations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by verifying the relevance with corporate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emed to be helpful in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of corporations and in improving the policy decisions of regulatory agencies of Korea,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capital market efficienc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이 보 유한 특수관계자 채권과 채무의 가치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특수관계자간 채권과 채무와 비특수관 계자와의 채권 및 채무가 기업가치에 대하여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우선, 특수관계자 채권·채무의 가치관련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기업이 보유한 특수관계자 와의 채권과 채무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보유한 채권 및 채무와 마찬가지로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입·유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특수관계자 간 거래로 인하여 발생된 채권은 특수관계자와의 채권을 제 외한 순자산보다 기업가치에 대한 가치관련성이 낮으며, 이는 특수관계자간 거래가 서로간의 특수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거래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치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다음으로 특수관계자와 비특수관계자의 채권·채무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특수관계자 채권의 경우 채 무 기업의 재무적 위험이나 파산 위험이 있을 경우 이러한 채무 기업의 위험을 채권자 기업에게 전가하지 않 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비특수관계자 기업의 채권은 채무 기업의 재무적 위험이나 파산 위험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특수관계자의 채무는 일반적 채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이자율 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채무 기업에게 불 리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더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관계자간의 거래로 인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과 채무의 가치관련성에 대하여 실증분 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관계자 거래 중 채권·채무에 대하여 파악하고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업의 특수관계자 거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나라 규제당국의 정 책결정, 회계투명성 제고 및 자본시장의 효율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특수관계자 거래 및 선행연구
  1. 특수관계자 거래
  2. 특수관계자 거래와 관련된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 및 검증모형
  1. 연구가설
  2. 검증모형
  3. 표본의 선정
 Ⅳ. 실증분석결과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
  2. 상관관계분석
  3.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 Kim, Eun. 건국대학교 박사
  • 홍선희 Hong, Sun Hee. 경복대학교 세무회계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