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군 조직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전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Combat Capabilities in the Military

김기춘, 박계홍, 문재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llowing the Defense Reform Plan 2030 to greatly increase the number of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from 116,000 to 152,000.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level NCOs, making up 33% of military executive members, will also rise dramatically. These elementary level NCOs,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different kinds of job stress under the distinct command structure characteristic of military organizations, may affect its combat capabilities on the who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 of job stressors on the organizational ability, i. e. combat capabilities of the military and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corroborative evidence is as follows. Firstly, of the factors inducing job stress, only conflict in duty proves a minus to combat capabilities, and ambiguity and excessiveness in duty does not. Secondly, all factors of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ly,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in regard to combat capabilities. Fourthly,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role between combat capabilities and job stressors. This shows that ambiguity and excessiveness in duty only affects combat capabilities indirectly by affecting job satisfaction, but conflict in duty has both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ince job stressors contain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combat cap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management measures to lower factors of job stress. The limit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oi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 results.

한국어

우리 군이 국방개혁 2030에 의해 부사관을 현재 11만 6,000명에서 15만 2,000명으로 대폭 증원하는 계획에 따라, 간부의 33%를 차지하는 초급부사관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초급부사관은 군의 특수한 명령체계 하에서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군 전체 전투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초급부사관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조직성과 즉, 전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갈등은 전투역량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역할모호와 역할과다는 직무만족을 매개로하여 전투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모두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전투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전투역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할모호, 역할과다는 오로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해서 전투역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이지만, 역할갈등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초급부사관
  2. 전투역량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전투역량
  2.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
  3. 직무만족과 전투역량
  4.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Ⅴ. 분석결과
  1. 타당도와 신뢰성
  2. 동일방법편의의 검증
  3. 상관관계 분석
  4. 가설검증
 Ⅵ.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의의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춘 Kim, Ki Choon.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박계홍 Park, Kye Hong.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문재승 Moon, Jae Seung.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