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about the Editions and the Illustrations of Buljungsimdharanikyung

우진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alt with the editions and its illustrations of Buljungsim-dhara nikyung (佛頂心陀羅尼經), we could know the facts as follows ; 1. Buljungsim-dharanikyung(佛頂心陀羅尼經) is mostly published by the elite or power structure in Koryo(高麗) Dynasty with the purpose of their selfprotection. In the early of the Chosun(朝鮮) Dynasty,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with the sponsor of Insoodaebi(仁粹大妃) at royal family in 1485. The rest editions of Chosun(朝鮮) were published one at the temple in various area. 2. The editions of Buljungsim-dharanikyung(佛頂心陀羅尼經) is generally divided into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n(王室發願本), Korean annotated ones so forth. The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王室發願本) is printed in 1485 and 1561 at Haetalam(解脫菴) has same series. 3. Sungwhabon(成化本) and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n(王室發願本) has The arrangement, the position of the text and Illustrations has similar pattern. Also the two books has the same number of line at one page and the number of character per line. So we could estimate the publication date is in the scope of 10 years between two books. Especially, the same pattern of the record in four border of two books is the key ground that ‘edition of Tang periods(唐 本)’ is the right the book of sungwha periods, so called sungwhabon(成化本). 4. The edition of Sinkwang temple(新光寺本) in 1711 has more simple pattern in the illustrations. Especially in the area of clothes, the stuff, blank space of the illustrations. It showed us that simplification of illustration is occurred during the re-engraving process likewise the same pattern in the content character.

한국어

본고는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를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려시대 밀교신앙의 성행과 함께 간행된 『불정심다라니경』은 고려시대에는 권력층 위주의 호신용으로 주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1485년 인수대비의 발원으 로 간행된 왕실발원본이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여러 지역의 사찰에서 간행하였다. 2.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은 크게 왕실발원본(1485)과 독자적으로 간행된 판본이 있 으며, 해탈암본(1561)은 왕실발원본 계열의 판본이다. 3. 성화본과 왕실발원본은 경문의 배열과 구성이 같고, 도상이 유사하다. 또한 간행시기 가 10년 이내로 근접하다. 특히 郭 안의 기록이 일치하는 점 등은 왕실발원본의 발문 에서 언급한 ‘唐本을 본떴다’는 기록의 唐本이 成化本으로 볼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4. 신광사본(1711)에 수록된 삽화는 왕실발원본을 모방하여 더욱 간략하게 변형되었다. 특히 음영을 넣은 의복 표현, 사물, 여백 등의 간략화가 특징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불정심다라니경』의 구성과 간행
  2.1 구성과 내용
  2.2 『불정심다라니경』의 간행과 전래
 3. 『불정심다라니경』의 현전 판본
  3.1 고려간본
  3.2 조선간본
 4. 왕실발원본과 성화본의 비교
  4.1 형태적 특징
  4.2 도상
 5. 신광사본 삽화의 특징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우진웅 Woo, Jin-Woong.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