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에서의 朱子文集 수용방식

원문정보

Ways of Accepting the Collection of Master Zhu’s Works in Korea

한국에서의 주자문집 수용방식

崔彩基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eo-Confucianism integrated by master Zhu was introduced in Korea at the end of 13th century and dominated the whole study in Korea for about 500 years of Chosun Dynasty. Accordingly, Zhuzidaquan(朱子大 全), another collection of master Zhu’s works, was brought in with other Neo-Confucian books. Since 1543 when it was first published by Kim Angook(金安國), Zhuzidaquan was issued four times from Gyoseogwan(校 書館) and Jeonju(全州), which was led by Ryu Huichoon(柳希春, 1575), Won Dupyo(元斗杓, 1635), and Hong Gyehi(洪啓禧, 1771). After the publication of Zhuzidaquan, Lee Hwang(李滉) compiled academically important letters selected from 121 volumes of poetry and prose, which was called Jujaseojulyo(朱子書節要) and published 10 times by scholarly friends and younger students. This affected other Neo-confucianists of later generations and they published many kinds of selections, anthologies of master Zhu’s letters as well as other poetry and prose. The original Zhuzidaquan was not perfect that there were a lot of missing parts and wrong spellings so before Zhuzidaquan and Jujaseojulyo were published in Korea, Lee Hwang, Ryu Huichoon, and Hong Gyehi looked into the originals closely and made corrections on them. Lee Hwang and his coming generations had master Zhu’s works understood more clearly and deeply, by annotating them in detail. Furthermore, master Zhu’s posthumous works of poetry and prose and appendix were added in Hong Gyehi’s edition(1771) of Zhuzidaquan. As seen from the above, Korea made a primer on Neo-confucianism by selecting from, correcting, annotating, or adding to, master Zhu’s works.

한국어

朱子가 집대성한 性理學은 13세기말에 처음 한국에 수입되어 조선왕조 500여년 동안 한국의 학문을 주도하였다. 이에 따라 朱子의 文集인 『朱子大全』역시 다른 성리학 문헌들과 함께 한국에 수입되었다. 『朱子大全』은 金 安國이 1543년에 한국에서 처음 간행한 이래 柳希春(1575), 元斗杓(1635), 洪啓禧(1771) 등의 주관으로 校書館과 전라도 全州에서 총 4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退溪 李滉은 『주자대전』이 간행되자 121권의 방대한 주자의 詩文 가운데 학문적으로 중요한 편지만을 抄節하여 1556년에 『朱子書節要』를 편찬하였고, 그의 知舊門人과 後學들이 총 10차례에 걸쳐 이를 간행하였다. 그 후 『 朱子書節要』의 편집방식에 영향을 받은 후대 성리학자들은 그 대상을 더욱 확대하여 주자의 편지뿐만 아니라 다 른 詩文에 대해서도 다양한 節要書를 편찬하였다. 『주자대전』은 중국에서 간행된 原本 그 자체에 缺落과 誤字가 매우 많았다. 때문에 한국에서 『주자대전』과 『주자서절요』를 간행할 때에는 원본을 그대로 간행하지 않고 李滉, 柳希春, 洪啓禧 등이 정밀한 校正을 실시하여 그 원본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그와 아울러 이황과 그의 후학들은 『주자대전』과 『주자서절요』의 난해한 내용에 대하여 상세한 註釋을 가함으로써 주자의 학문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시켰다. 또한 1771년에 간행된 洪 啓禧本 『주자대전』에서는 다른 문헌에 수록된 주자의 시문과 전기자료 등을 수집하여 遺集과 附錄을 增補하기 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한국에서는 주자의 문집을 抄節, 校正, 註釋, 增補 등의 방식으로 정리하여 성리학의 基本書로 만들어 나갔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주요 중국본 주자문집
 3. 한국본 『朱子大全』의 간행
 4. 『朱子書節要』의 刊行
 5. 『주자서절요』이후의 주자문집 주석서와 절요서
 6.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崔彩基 최채기.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