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금속활자의 발명과 전래에 관한 동ㆍ서양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Invention and Diffusion of Metal Movable Types in the East and the West

김성수, 마승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invention and transmission of metal movable types in Korea and the West is compared.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Chapter 2 ‘The Casting Techniques of Gutenberg Types’, the assertion that the Gutenberg’s 42-Line Bible had been printed with movable types cast in the sand casting method of the Goryeo was confirmed. Second, in Chapter 3 ‘The Casting Techniques of Metal Movable Types in the Goryeo’, it is again verified and confirmed that 1) Jeungdoga-ja Types, ‘Goryeo Types with four legs’ found with those types, and Heungdoksa-ja Types were all cast with the sand casting method, and 2) especially Heungdoksa-ja Types were cast with the sand casting method used in ‘Goryeo Types with four legs’, which were produced with separate top-bottom parts. Third, in Chapter 4 ‘Issues regarding the Transmission of the Casting Technique of Metal Movable Types in the Goryeo’, the analysis of five perspectives, including Professor Hopson who tries to trace the origin of printing techniques of metal movable types in the Goryeo, strongly confirms the diffusion of the Goryeo casting technique to the West. Especially the analysis of historical facts asserted by Carter and Hudson, documents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mon features of Eastern and Western movable types, and various physical evidences (for example, Gutenberg’s portrait) shows the impact of the sand casting method of the Goryeo on the Gutenberg Types.

한국어

이 논문은 금속활자의 발명과 전래에 관한 한국(동양)과 서양의 경우를 비교한 연구이다. 본론을 요약하여 결론으 로 삼으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제2장 ‘구텐베르크 활자의 주조법’에 관하여 특히 프랑스 올리비에 드로니용 박사의 주장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 구텐베르크가 「42행 성서」를 간행한 활자의 주조법(鑄造法)은 바로 고려의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한 활자 임에 틀림없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고려 금속활자의 주조법’에 관하여 논술하였다. 그 결과, 1) ‘證道歌字’와 증도가자와 함께 발 견된 ‘고려 네다리형 활자’ 및 「직지」를 인쇄한 興德寺字의 주조법은 모두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되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2) 특히 興德寺字의 주조법은 ‘상․하분리형 父字’에 의한 ‘고려 네다리형 활자’ 형태의 주물사주조법으 로 주조되었음을 가장 확실하게 검증(檢證)하고 증명하였다. 셋째, 제4장 ‘고려 금속활자 주조법의 서양 전래에 관한 문제’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특히 ‘금속활자 인쇄술의 기 원(起源)을 한국에서 찾고 있는 존 M. 홉슨 교수의 견해 등 5가지의 관점을 살펴본 결과, 고려 금속활자의 주조법 이 서양에 전래되었을 개연성(蓋然性)은 농후(濃厚)하였다. 특히 카터와 허드슨 등이 주장하는 역사적 사실(事實) 및 「조선왕조실록」 등의 기록, 동․서양 활자 모양의 공통성 및 여러 물증(物證: 특히 구텐베르크의 초상화 내용)들 을 분석한 결과, ‘구텐베르크 활자의 주조법은 한국(韓國: 高麗)의 주물사주조법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아야 할 개 연성이 있음을 논술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구텐베르크 활자의 주조법
 3. 고려 금속활자의 주조법
 4. 고려 금속활자 주조법의 서양 전래에 관한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수 Kim, Sung-Soo.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 마승락 Ma, Sung-Rag. 대구MBC 보도국 영상취재팀 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