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vestigates books and its editions, deemed clearly to be published by Seowon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to the year 1910, the humiliation of the nation and organizes and analyzes it. The books of a total of 44 species, in other words, the editions of the 56 kinds were investigated. An analysis of these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First, these was published by 28 Seowons of 16 counties. In the county, Miryang-gun, Jinju-gun, Haman-gun, and Hamyang-gun was the most published. And in the Seowon, Namgye Seowon and Yerim Seowon was the most published. Second, 37 editions (66% of total edition) were published intensively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to the reign of King Gojong, in the 19th century. Third, the most of published books were categorized into the class of History and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Individual works we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individual biography, kinds of genealogy were in. Forth, 77% of total books was printed with woodblock and 23% was wooden types book. Fifth, as the author, peoples with th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books were all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its Seowon. Sixth, the most of these books were related to the Nammyeong school, the rest were related to the Toegye and Young school.
한국어
이 글은 1910년 경술국치일까지 경남지방의 서원들에서 간인한 것이 분명하다고 판단되는 서적과 그 판본들을 조 사하여 지역 및 서원별로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조사된 서적은 종수로는 총 44종이고 판본 수로는 56종이었다. 그리고 이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을 밝혀냈다. 첫째, 16개 군의 28개 서원에서 간인하였으며, 그들 중 지역별로는 密陽郡, 晉州郡, 咸安郡 및 咸陽郡이, 서원별로 는 灆溪書院과 禮林書院이 가장 많이 간인했다. 둘째, 전체 판본의 66%인 37종의 판본이 19C 순조조부터 고종조에 걸쳐 집중 간인되었다. 셋째, 간인 서적의 대부분은 史部와 集部에 속하는 것으로, 개인 문집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개인 實記와 족보 류 순이었다. 넷째, 전체 56종의 판본 중 목판본이 43종 77%이고 목활자본이 13종 23%로 주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다섯째, 저자 등 서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진 인물들의 거의 모두가 해당 서원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 다. 여섯째, 남명학파와 관련 있는 서적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는 퇴계학파와 영학파와 관련 있는 서적들이 있었다.
목차
1. 서언
2. 경남지방의 서원과 환경
2.1 행정구역
2.2 서원
2.3 학맥
3. 서원판본
3.1 晉州郡
3.2 密陽郡
3.3 宜寧郡
3.4 昌寧郡
3.5 居昌郡
3.6 河東郡
3.7 陜川郡
3.8 咸安郡
3.9 咸陽郡
3.10 固城郡
3.11 梁山郡
3.12 草溪郡
3.13 安義郡
3.14 山淸郡
3.15 丹城郡
3.16 泗川郡
4. 판본 분석
4.1 지역과 서원별
4.2 시기별
4.3 주제별
4.4 간인 방식별
4.5 서원과의 관계
4.6 학파별
5. 결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