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능성 아웃도어 브랜드의 광고모델 효과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ercial Model in Functional Outdoor Brand

최선미, 김일, 황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outdoor activities along with the shifts of lifestyle, outdoor brands try to employ more effective commercial model suitable for their own brand image to boost the effects of advertising. Likewise, studies have continued to found that a superb harmony between brand image and commercial model serves to increase the effect of ads, but not many studies have yet proven that it's possible to just rely on commercial model to produce expected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eference for the commercial model of functional outdoor brands and commercial model suitability on advertising effe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ir 20 and 30s. These age groups have been emerging as new consumers of outdoor apparel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a statistical package Ver.SPSS 20.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ercial models of the selected functional outdoor brands, the students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commercial models who were entertainers. In terms of commercial model suitability, they placed a higher value on those who were professionals. Their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higher when the commercial models were entertai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of use for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setting of functional outdoor brands.

한국어

최근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하면서 야외 활동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는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광고모델의 효과를 통해 광고효과를 높이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간의 조화과 광고효과를 높여준다는 결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지만 광고모델의 효과만으로 광고효과를 증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능성 아웃도어 브랜드의 광고모델 선호도 및 적합도가 광고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웃도어 의류 구매의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20-30대의 남, 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SPSS Ver. 20.0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능성 아웃도어 브랜드를 광고모델 유형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선호도는 연예인 광고모델이 높았으며 적합도는 전문인 광고모델이 더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연예인 광고모델이 전문인 광고모델보다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성아웃도어 브랜드에서 효과적인 광고모델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아웃도어 브랜드 이미지와 시장현황
  2.2. 광고모델의 유형 및 광고효과
 3. 연구 방법
  3.1. 연구가설 및 모형
  3.2. 실험 절차 및 실험 대상
  3.3. 실험물 선정 및 제작
  3.4. 측정도구
  3.5. 자료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4.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주요 측정 변인의 산정 및 신뢰도
  4.3. 광고모델에 대한 태도 독립표본 T-검정
  4.4. 모델 유형별 광고효과 독립표본 T-검정
  4.5.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4.6. 광고모델에 대한 태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4.7. 광고모델 유형별 광고효과 상호 간 미치는 영향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선미 Choi Sun Mi.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과정
  • 김일 Kim IL.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교수
  • 황선정 Hwang Sun Jung.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